논문 상세보기

피해설문조사 기반의 도시지역의 침수심별 피해 추정함수 개발 -건물피해를 중심으로- KCI 등재

Development of Depth-Damage Function by Investigating Flooded Area with Focusing on Building Dam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50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피해설문조사 기반의 침수심별 피해 추정함수 개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특히 도시지역의 건물피해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실제 2011년 큰 피해가 발생한 동두천지역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피해설문조사 기반의 피해 추정함수를 개발하였다. 건물에 대한 피해는 주거용 건물과 영업용 건물로 구분하였고, 피해 당시 실제 피해액을 도출하기 위해 도배, 장판, 도색, 전기수리, 보일러 수리 등 부착물/설비시설에 대한 피해항목과, 가구류, 전자 제품류, 생필품 등 내장물을 세분화 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수행된 피해설문조사 기반의 침수심별 피해 추정함수 개발을 통해 향후 과학적 재난관리의 튼튼한 기초를 마련하고, 모든 방재정책의 효율적 추진과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구현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depth-damage function based on flood damage survey with focusing on building damage in urban area. We designed items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to develop a depth-damage function which estimates the amount of damage based on inundation depth targeting Dongducheon, Korea, which has experienced severe inundation damage due to significant flooding in July 2011. Based on the survey of the area, we developed a depth-damage function and used this to estimate the real amount of damage on buildings in the inundation area. To assess the damage on buildings, we categorized buildings into two groups; namely residential buildings and commercial buildings. Also, in order to calculate the real amount of damage caused by flooding, properties and detailed damaged items were sub-divided into two groups for the survey; facilities loss (wall paper, floor paper, painting, electrical facilities, and boilers) and furnishing loss (furniture, electronic products, and daily necessities. We expect this study on the process for developing depth-damage function and on the investigation research for flooded area to help in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all kinds of disaster management policies and the attainment of a society safe from disaster.

목차
 Abstract  요 지  1. 서 론  2. 피해 추정 설문조사   2.1 피해 추정함수 개발을 위한 설문조사 항목 설계   2.2 피해지역에 대한 설문조사  3. 피해설문조사 기반의 손실함수 개발   3.1 일반건물(주거) 손실함수 개발   3.2 일반건물(영업) 손실함수 개발   3.3 침수심별 피해추정함수를 이용한 피해액 추정   3.4 기존 추정 기법과의 비교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김상호(상지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 | Kim, Sang Ho
  • 김병식( 국립강원대학교 소방방재학부 & 방재전문대학원 도시환경방재공학전공 조교수) | 김병식
  • 이창희( 중원대학교 방재안전공학과 조교수) | 이창희
  • 정재학(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안전연구실 연구관) | 정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