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주 대표유역에 대한 함양지체시간의 경험식 KCI 등재

Empirical Formula of Delay Time for Groundwater Recharge in the Representative Watersheds, Jeju Islan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50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함양 지체시간은 강우로부터 지표면을 지나 지하수면으로 도달하는 침투수의 통로 역할을 하는 비포화대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시간지연을 의미한다. 함양 지체시간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고도와의 단순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지체시간에 대한 경험식을 유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주도 내에 4개의 유역(한천, 강정천, 외도천, 천미천)을 선정하여 총 18개의 관측지점에 대한 지체시간을 산정하였다. 또한 제안된 회귀식을 검증하기 위하여 선형 저수지 이론으로부터 유도된 방정식을 적용하여 구한 지체시간과 본 연구에서 유도된 경험식으로부터 산정된 지체시간을 이용하여 각각 산정한 지하수 함양량을 비교한 결과 상관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유도한 경험식을 이용하여 SWAT모형의 지체시간 매개변수에 적용할 경우 지하수 함양의 공간적 지연효과를 잘 반영할 것으로 판단된다.

Delay time for groundwater recharge means the travel time from the bottom of soil layer to groundwater through vadose zone after infiltration from rainfall. As it is difficult to measure delay time, we suggested an empirical formula which is derived by using linear regression between altitude and delay time. For the regression analysis, 4 major gauging watersheds were chosen (Hancheon, Kangjeongcheon, Oedocheon, Cheonmicheon) with 18 measured groundwater level stations. To verify this empirical formula, derived equation from linear reservoir theory was applied to compute delay time and to compare estimated amounts of groundwater recharge using both methods. The result showed good agreement. Furthermore, if derived empirical formula would be linked with SWAT model, the spatial time delay effect in the watershed could be reflected properly.

목차
 Abstract  요 지  1. 서 론  2. 연구 방법   2.1 강우로부터 지하수 함양까지의 과정   2.2 대상유역  3. 결과 및 고찰   3.1 회귀분석을 통한 지체시간 산정   3.2 오차 분석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김남원(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Kim, Nam Won
  • 나한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원) | 나한나
  • 정일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위원) | 정일문
  • 김윤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원) | 김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