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활성슬러지 케이크의 분리막 오염 모델 KCI 등재

Membrane Fouling Models for Activated Sludge Cak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73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본 실험은 실험실적 규모의 침지식 평막형 분리막이 장착된 활성슬러지 생물반응기에 인공폐수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분리막 운전은 MLSS 5,000 mg/L 활성슬러지 용액을 일정 유량으로 계속 투과시키는 방식과 주기적으로 10분여과/2분휴지 방식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산기량은 0.25 L/min로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투과유속을 10에서 25 L/m2⋅hr까지 증가시키면서 막간차압을 측정하였다. 또한 분리막 오염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완전막힘, 표준막힘, 중간막힘, 비압축성케이크 및 선형압축성 케이크 오염 모델을 실험값에 적용하였다. 10분운전/2분휴지 운전방식에서는 매 주기마다 펄스형태로 막간차압이 변화하므로 최고점 및 최저점 연결선으로 구분하여 막오염 모델을 적용하였다. 활성슬러지 케이크 막오염은 이상의 5가지 오염 모델 중 선형압축성 케이크 오염 모델이 모든 투과실험 결과와 가장 잘 일치하였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a laboratory scale activated sludge bioreactor equipped with submerged flat sheet membrane using the synthetic wastewater. The membrane system for the activated sludge solution of MLSS 5,000 mg/L was operated with constant permeate flux by continuously permeating and periodically 10 minute-permeating/2 mi-nute-resting modes, respectively. The transmembrane pressure was measured as the permeate flux increased from 10 to 25 L/m2⋅hr under the constant air flowrate 0.25 L/min. Also, the complete blocking, standard blocking, intermediate blocking, incompressible cake and linear compressible cake fouling models were retrofitted for the experimental data in order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membrane fouling. Because the transmembrane pressure fluctuated as a pulse shape for every period of 10 minute-permeating/2-minute resting mode, the membrane fouling models were separately applied for the maximum and minimum connecting lines. The linear compressible cake fouling model for the activated sludge cakes was the best fitt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from the above five models.

목차
1. 서 론
 2. 실 험
  2.1. 실험장치 및 운전방법
  2.2. 분리막모듈
  2.3. 인공폐수
 3. 막오염 투과유속 모델
 4. 결과 및 고찰
  4.1. 막세공 및 입도분석
  4.2. 정유량 투과실험과 오염모델
  4.3. 운전/휴지 반복운전 및 선형압축성 모델
 5. 결 론
 감 사
 Reference
저자
  • 김대천(에너지환경대학원) | Dae Chun Kim
  • 정건용(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Kun Yong Chu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