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T. S. 엘리엇 초기시의 주체성 KCI 등재

The Subjectivity of T. S. Eliot’s Early Poet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76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T.S.엘리엇연구 (Journal of the T. S. Eliot Society of Korea)
한국T.S.엘리엇학회 (The T. S. Eliot Society Of Korea)
초록

『재의 수요일』이전의 전기시에서 엘리엇은 시적 화자의 자아를 표현하는 방법을 찾아내지 못하였다. 그래서 그것은 자아를 발견하려는 또는 자아 없이 행하려는 투쟁의 과정이었다. 프루프록과 다른 관찰들 의 제사(題詞)의 마지막 2행은 시적 화자로서 자아인 ‘나’의 주체가 그림자같이 텅 빈 상태에 있으며, 이것이 ‘나’ 혼자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의 문제라는 점을 요약하고 있다. 이러한 견고하고자 하지만 견고할 수 없는 프루프록과 다른 관찰들의 주체를 ‘주체적인 것’이라보면 이러한 ‘주체적인 것’이 이 시집의 시적 화자들의 주체의 공통된 특징이다. 1917년의 프루프록과 다른 관찰들에서 계속 의문시되었던 주체의 위상에 대해서 1920년의 시집은 질문하지 않는다. 시적 화자의 주체에 대한 내면적인 회의가 해소되지는 않았지만 『시집』의 시적 화자의 주체는 ‘주체성’이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T. S. Eliot had not found his way to speak in his own person until Ash Wednesday, the beginning of the latter part of his poetry. Thus the first part of Eliot’s poetry until The Hollow Men is the record of a struggle to find a self. The poetic self ‘I’ in Prufrock and Other Observations, the first book of poems published in 1917, cannot find the solid position as a subject in the society. Prufrock failed in his venture of love linguistically as well as actually in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 due to the fact that his self can only be defined as ‘the subjective’ instead of ‘the subject.’ While this sort of unstable status of the self is found in all the other poems of Prufrock and Other Observations, Poems, the second book of poems published in 1920, disregards the fragility of the self and tries to read it in the dramatic relationship of conflicting characters. Even though the self is still not firmly established, it is treated as an entity, which can be defined as ‘the subjectivity.’

저자
  • 이만식(가천대학교) | LEE Man-Si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