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문해석과정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수문학적 댐 위험도 해석 기법 개선 KCI 등재

Improvement of Hydrologic Dam Risk Analysis Model Considering Uncertain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167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수문학적 댐 위험도 분석은 복잡한 수문분석과 연계되어 있으며, 기본적으로 수문분석 과정과 모형에 사용되는 입력 자료에 대한 불확실성을 평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체계적인 불확실성 분석 과정을 통한 댐 위험도 분석 절차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편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 대해서 2가지 주요 개선점을 도출하여 댐 위험도 분석에 활용하였다. 첫째, 강우 분석 시 매개변수의 불확실성 분석이 가능한 Bayesian 모형 기반의 지역빈도해석 절차를 수립하였다. 둘째, 강우-유출 모형 매개변수의 사후분포를 정량적으로 추정하기 위하여 Bayesian 모형과 연계한 HEC-1모형을 도입하였다. 도출된 유입 시나리오를 댐의 수위로 환산하기 위하여 기존 저수지 운영기준에 근거하여 저수지 추적을 수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실행함수를 통하여 수문학적 위험도를 추정하였다. 실제 댐에 대해서 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하였으며, 초기수위 가정에 따른 수문학적 위험도에 민감도를 평가하였다.

Hydrologic dam risk analysis depends on complex hydrologic analyses in that probabilistic relationship need to be established to quantify various uncertainties associated modeling process and inputs. However, the syste-matic approaches to uncertainty analysis for hydrologic risk analysis have not been addressed yet. In this paper, two major innovations are introduced to address this situation. The first is the use of a Hierarchical Bayesian model based regional frequency analysis to better convey uncertainties associated with the parameters of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to the dam risk analysis. The second is the use of Bayesian model coupled HEC-1 rainfall-runoff model to estimate posterior distributions of the model parameters. A reservoir routing analysis with the existing operation rule was performed to convert the inflow scenarios into water surface level scenarios. Performance functions for dam risk model was finally employed to estimate hydrologic dam risk analysis. An application to the Dam in South Korea illustrates how the proposed approach can lead to potentially reliable estimates of dam safety, and an assessment of their sensitivity to the initial water surface level.

목차
1. 서 론
 2. 본 론
  2.1 기존 수문학적 댐 위험도 해석기법
  2.2. 수리·수문학적 댐 위험도 해석기법 개선
 3. 적용 및 고찰
  3.1 계층적 Bayesian 지역빈도해석 적용 결과
  3.2 강우-유출 분석 결과
  3.3 실행함수를 이용한 댐 월류 확률 결과
 4. 결론 및 토의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나봉길(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사업처 수자원계획 팀장) | Na, Bong-Kil
  • 김진영(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사과정, 방재연구센터) | Kim, Jin-Young
  • 권현한(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부교수, 방재연구센터) | Kwon, Hyun-Han 교신저자
  • 임정열(한국수자원공사 K-water 연구원 기반시설연구소 지반구조연구팀) | Lim, Jeong-Ye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