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실내 공간연출을 위한 화훼 조형물의 설치 효과 KCI 등재

Effect of Installing Flower Sculpture for Indoor Space Decor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10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실내공간연출에서 화훼조형물의 설치효과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으며, 실내공간(병원 및 카페) 화훼조형물 3점, 일반조형물 3점을 전시하여 병원 및 카페의 방문하는 고객 100명을 대상으로 작품 관람 후 설문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화훼조형물과 일반조형물 구분 가능여부에 있어서는 전체 83.0%가 화훼조형물과 일반조형물을 뚜렷이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조형물에 대한 인지도를 분석한 결과, 전체 20.0%만이 화훼조형물에 대해 비교적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조형의 상업적 가치에 있어서는 20-30대에 비해 40대 이상의 경우 상대적으로 화훼조형이 상업적으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볼 때, 도시화 현대화 되어가는 사회에서 인간의 자연귀화나 자연 친화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공간디자인 영역에서 화훼조형의 가치는 상승할 수 있다는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상업공간인 실내공간에서 화훼조형물을 사용하는 사례가 많지 않고, 화훼조형물의 부유물 유출에 따른 뒤처리의 단점이 지적되어지고 있다. 앞으로 이러한 단점을 보안한다면, 실내 상업적인 공간에서의 화훼조형물의 공간연출이 확대되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preliminary data on the effect of installing flower sculptures in space decoration. Three flower sculptures and three regular sculptures were installed in a hospital and a cafe, and 100 visitors were asked for their opinions. Following is the analysis of their answers. Regarding the ability to recognize the difference between flower sculptures and regular sculptures, 83.0% of the surveyees were able to distinguish clearly between flower sculptures and regular sculptures. Analysis of the results on the awareness of flower sculptures showed only 20.0% was aware of flower sculptures. Regarding the commercial value of flower sculptures, those over the age of 40 saw more commercial value in flower sculptures compared to those in their 20’s and 30’s. Overall, in a society that is becoming urbanized and modernized, the preference for naturalization of humans or to be environmentally- friendly is increasing, and provides a basis for the possibility of flower sculptures to increase in value in the area of space design. However, there aren’t many examples of flower sculptures to be used in commercial spaces, and the necessity to clean-up after the discharge of floating materials has been pointed out. If these faults are supplemented in the future, the expansion in the use of flower sculptures as decoration in commercial spaces can be anticipated.

저자
  • 조연용(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 Department of Horticultural Biotechnology, Graduate School of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s, Korea University
  • 홍종원(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 Jong Won Hong Corresponding author
  • 장유진(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 Eu Jean Jang
  • 박천호(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 Chun Ho P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