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지관리 유형이 주택정원 구성요소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the Maintenance Type on the Change of Componenets of Home Garde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31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식재에 있어서 정원 구성요소들의 특징의 변화는 첫째, 상록교목과 초화류의 증가 MRC는 SMT에서 PMT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상록관목 MRC도 SMT에서 PMT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낙엽교목과 상록관목은 SMT에 가까워 질 수 록 MRC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낙엽관목은 모든 유형에서 RC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다섯째, 초화류는 정원의 구성요소들 중에서 가장 큰 증가 RC를 보이는 항목으로 PMT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여섯째, 잔디의 경우에 있어서는 의미 있는 특징을 찾을 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설물에 있어서 정원 구성요소의 특징의 변화는 첫째, 모든 시설물의 조사 항목에서 PMT는 100%의 증가 RC를 보였다. 둘째, 구조물과 장식의 증가 RC는 SMT가 12.8%, HMT가 66.0%, PMT가 187.1%로 나타나 PMT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셋째, 포장, 계단, 수요소의 항목은 SMT에서는 변동이 전혀 없었다. 위의 내용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1)정원의 MRC는 유지관리유형과는 관계없이 일어났다. (2)정원의 MRC는 PMT로 갈수록 높아졌다. (3)식재의 MRC는 초화류가 가장 높았다. (4)시설물의 MRC는 구조물과 장식이 가장 높았다. 그러므로 정원을 설계할 때는 식재와 시설물에서의 MRC를 고려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식재의 경우는 초화류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시설물의 경우는 구조물과 장식물을 설계의 최우선 과제로 고려할 때 향후 유지관리의 비용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만족스러운 정원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The change of components characteristic in planting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ratio of change of the evergreen tall trees, evergreen shrubs, and herbaceous ornamentals showed an upward tendency from SMT as the maintenance type was closer to PMT. Secondly, deciduous tall trees showed an downward tendency as the maintenance type was closer to SMT. Thirdly, deciduous tall trees showed an downward tendency in the change rate across all the types. Fourthly, herbaceous ornamentals showed the highest change rate, and the rate increased as the garden maintenance type was closer to PMT. Fifthly, no meaningful characteristics was found in lawn. The change of components characteristic in Faciliti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with all the items used for investigation, only PMT showed 100% of increase rate. This was interpreted as the garden owner’s interest increases as the garden maintenance type was closer to PMT. Secondly, the increase rate in the structures and ornaments was 12.8% for SMT, 66.0% for HMT, 187.1% for PMT. Thirdly, items related to paving, stairs, and waters showed no change at all in SMT. Thus, the above-mentioned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Changes occurred in the gardens irrelevant to the maintenance type. (2)The change rate increaseed as the garden maintenance type is closer to PMT. (3) The herbaceous ornamentals showed the highest rate in plantings change rate. (4)The structures and ornaments showed the highest rate in the facilities change rate. Thus, we should take advantage of MRC(mean ratio of change) whenever we plan home garden. In other words, if we add to deciduous as for planting and if we consider as for structure and ornamental in the plan number-one, we can estimate that it may be able to expect economic effect. If we apply these points at the design stage, we can save the unnecessary redundant expenses that occur inevitably due to the change of the garde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적요
  Ⅴ. 인용문헌
저자
  • 이주형(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개발경영·교통학과) | Joo-Hyung Lee
  • 최봉수(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설계·조경학과) | Bong-Su Choi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