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위천강 수생태계 군집구조분석 및 보전방안 수립에 관하여 KCI 등재

Ecological Conservation Strategies by Vegetation Community Structure for Riparian Zone in Wi’chon River, Geochang-Gun, Gyeongsangnam-D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32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수변구역에 분포하는 식물상 및 수생태계의 군집구조 규명과 하천유역의 생태계 변화 예측을 통한 수생식물군락 보전대책 수립을 위해 거창군 위천강 유역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조사구간을 통틀어 분포하고 있는 관속식물은 총 67과 161속 162종 27변종 3품종 총 192종류로 목본류 보다 초본류의 출현종 수가 높게 나타났다. 정수식물과 부엽식물대는 조성되지 않았으며, 습생식물로는 고마리, 여뀌, 닭의장풀, 산둑사초, 갯버들, 키버들, 달뿌리풀, 미나리 등이 확인되었다. 식물군락으로는 대표적인 우점군락은 달뿌리풀 군락이었고 다음으로 갯버들 군락이 형성되어 있었다. 5개의 조사지점을 분석한 결과, 달뿌리풀, 수크령, 산둑사초 등의 중요도가 높았으며, 종다양성지수는 0.890~1.337, 군집유사도는 0.33~0.60을 보였다. 조사대상지는 농경지, 답압, 가축방목, 돌망태, 콘크리트 옹벽 등의 호한공사 등에 의한 다양한 교란요인에 노출되어 있었으며, 강우에 의해 유실되는 토양이 하상 내 광폭부를 중심으로 일시적인 퇴적지를 형성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퇴적토사를 제거하고, 미나리, 갈대, 부들 등 수질정화수종 조성 및 수변구역 식생안정화 유도 및 수질을 정화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floras and water ecology structures and to establish conservation methods for riparian zone in Wi’chon River, Geochang-gun, Gyeongsangnam-do. Kinds of vascular plants in study sites were totally 192(162 species, 3 varieties, 161 genus and 67 families). The number of herbs species were higher than that of tree species. Floral zones of aquatic plants and floating leaved plants were not organized. Some hygrophyte species such as Persicaria thunbergii, P. hydropiper, Commelina communis, Carex forficula, Salix gracilistyla, S. purpurea, Phragmites japonica, Oenanthe javanica, etc) were distributed in study sites. The plant communities in study sites were classified into 2 communities; 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and S. gracilistyla community. The species which showed high species diversity index were Phragmites japonica, Pennisetum alopecuroides and C. forficula. Species diversity index and community similarity index were distributed from 0.890 to 1.337 and from 0.33 to 0.60, respectively. Various kinds of disturbance such as farming, compaction, livestock grazing, gabion and concrete retaining, etc. were occurred in study sites. Soil washed by precipitation was making temporarily sedimentary areas around double width of river bed.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remove accumulated soil and plant some water purification species such as Oenanthe javanica, P. communis and Typha orientalis, etc.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적요
  Ⅴ. 인용문헌
저자
  • 이광수(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 Kwang-Soo Lee
  • 이정환(경상대학교 창업센터 에코비젼21연구소) | Jeong-Hwan Lee
  • 정수영(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학술림) | Su-Young Jung Corresponding Author
  • 배은지(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 Eun-gi Bae
  • 정문호(한국광해관리공단 광해기술연구소) | Mun-Ho Jung
  • 조현서(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Hyun-Seo 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