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집단원예치료 발달단계에 따른 원예치료프로그램의 치료목표 및 원예활동 분석 KCI 등재

Analysis about Therapeutic Objectives and Horticultural Activitie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t Developmental Stage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40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기존 원예치료프로그램의 치료목표를 시간적 흐름에 따라 분석하여 그 경향을 살펴보고 나아가 본 연구자가 제시하고자 하는 집단발달단계의 시각에 따른 집단원예치료에 적합한 프로그램 구성을 제시하는데 이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원예치료프로그램의 치료목표를 집단원예치료 발달단계에 따라 분석하여 위하여 선정한 108개의 실험에서 제시된 원예치료프로그램을 Corey(1995)의 집단발달단계에 기초하여 한경희 등(2008)이 제시한 시작단계, 전환단계, 작업단계 종결단계의 4단계로 분류하였다. 단계를 분류하기 위하여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기본 총회기를 12회기로 보고 1-2회기 까지를 시작단계, 3-6회를 전환단계, 7-10회를 작업단계, 11-12회를 종결단계로 설정하였다. 집단발달단계에 따른 집단원에치료프로그램의 단계별치료목표 분석에 따르면, 시작단계는 감각자극(11.9%), 소근육과 대근육 등의 운동기능향상(9.3%), 자존감향상(8.6%), 인지능력의 향상(7.8%), 대인관계 및 사회성 향상(7,5%) 흥미와 호기심 유발(6.3%), 정서안정 등과 같은 긍정적 심리 향상 및 부정적 심리의 감소(5.2%)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전환단계는 대인관계 및 사회성 향상(11.4%), 자기표현, 감정표현 증진(9.3%), 자아존중감 향상(8.0%), 소근육과 대근육 등의 운동기능향상(7.5%), 인지기능향상(7.5%), 긍정적 심리 향상 및 부정적 심리의 감소(7.2%), 성취감증대(5.4%), 감각자극(5.1%), 기억력증대(5.1%), 주의력의 향상(3.8%) 순으로 나타났다. 작업단계에서 조사된 내용은, 소근육과 대근육 등의 운동기능 향상(13.9%), 대인관계 및 사회성 향상(10.7%), 감각자극(8.0%), 정서안정 등과 같은 긍정적 심리 향상 및 부정적 심리의 감소(7.8%), 인지기능향상(7.0%), 자기표현, 감정표현의 증진(7.0%), 자존감향상(6.2%), 주의집중력 향상(5.6%), 협동심 향상(4.0%) 순이었고, 종결단계에서 조사된 내용은, 대인관계 및 사회성 향상(19.2%), 소근육과 대근육의 운동기능향상(8%), 숙련도 향상(8%), 자존감향상(7%), 성취감 증대(6.1%), 주의 집중력 향상(6.1%) 등 이였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provide the efficient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to improve the effect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through the stages in development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The configur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ies consists of four stage (initial stage, transition stage, working stage, final stage) based on Corey's(1995) and classified by Han et al. (2008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is designed to 12 times( 1 to 2: initial stage, 3 to 6 ; transition stage, 7 to 10; working stage, 11 to 12; final stage). A total of 108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classified by four stage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The number of the whole horticultural activities was 2074: cultivation 473(23%), decoration 1208(58%), appreciation 90(4%), etc 303(15%). The analysis of the developmental stage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shows as follows: at the initial stage, the improvement of positive psychology and the purpose of horticultural therapy like sensory stimulation, motor function of body, self-esteem, cognitive function, human relationship and sociality is presented. At the transition stage, although the human relationship is faced with conflicts in strange circumstance, the contents of investigated activities are the improvement of human relationship, sociality, interaction, self-esteem, self-confidence, motor function of body, cognitive, positive psychology, accomplishment, satisfaction, sensory stimulation, memory, and attention. At the working stage, 38% of the investigated activities ar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attention, sensibility, memory, and motor function of body. At the final stage, 33% of these are the improvement of positive psychology, problem-solving, attention, observation, sensibility, memory, and proficienc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적요
  Ⅴ. 인용문헌
저자
  • 서정근(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원예치료학과) | Jeung-keun Suh
  • 이상미(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원예치료학과) | Sang-mi Lee 교신저자
  • 한경희(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원예치료학과) | Kyung-hee 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