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몇 가지 환경요인에 따른 난분배지 내의 열환경에 관한 연구 I. 고온기 난분배지의 수분량 변화에 따른 생육, proline 및 glycinebetaine 축적 KCI 등재

Studies of Thermal Environment by Several Environmental Factor in the Media of Orchid Pots I. The Effect of Moisture Content in Orchid Pot on Growth, Proline and Glycinebetaine Accumulation to High Temperature Seas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60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난분 함수량에 따른 생육반응에서 건중에 비해 생체중의 변화가 현저하였다. 특히 난분 함수량이 0%± 5인 C point는 100%± 5인 A point에 비해 16.1g에서 4.7g으로 지하부의 생체중 감소가 매우 격감하였으나, 지상부의 생체중에서는 3.5g에서 2.1g으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건중에서는 현저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또한 엽록소와 총수용성 탄수화물(Total soluble carbohydrate)에서 용토 내의 함수량에 따른 현저한 차이를 볼 수 있었으나, 지상부와 지하부에 따른 다른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체내 총수용성 탄수화물량의 변화를 살펴보면, 지상부는 난분 내의 함수량이 0%± 5의 C point시점에서 0.2mg/g DW로 다소 감소함을 알 수 있었으나, 근권부에서는 100%± 5인 A point에서 0.14mg/g DW에 비해 50%± 5(B point) 그리고 0%± 5(C point)의 시점에서 0.22mg/g DW로 보다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난분 함수량에 따른 proline 축적량 변화는 100%± 5인 A point에 0.05mg/g FW 비해 0%± 5인 C point의 시점에서 0.6mg/g FW로 큰 변화를 볼 수 없었다. 한편, glycinebetaine에서는 지상부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나, 근권부인 뿌리에서 함수량이 100%± 5(A point)의 0.11mg/g DW에서 0%± 5인 C point의 시점에서 0.26mg/g DW로 2배의 증가를 불 수 있었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understanding physiological response for changes of water content in the media of orchid pots. The water environment of root zone was compared to tree water content point in orchid pots of 100%± 5(A point), 50%± 5(B point) and 0%± 5(C point) of water content.
The fresh weight to 0%± 5 of water content(C point) was declined more than that of 100%± 5(A point). The change of total soluble carbohydrate was declined to 0.2mg/g DW at 0%± 5 of water content (C point) in the shoot part, but was not showed equally at the root part. The proline concentration according to 0%± 5 of water content (C point) of orchid pots was increased greater than those of 100%± 5 (A point) weakly, but when cultured in 0%± 5 of water content (C point) was 2 times greater than to 0.26 mg/g DW of glycinebetaine concentratio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적요
  Ⅴ. 인용문헌
저자
  • 이영현(순천향대학교 생물자원공학과) | Lee Young-H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