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이탈리아의 포도 및 와인 생산 동향 KCI 등재

Current Status of Grape and Wine Production in Ital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43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이탈리아는 포도 재배 면적과 생산량, 와인 생산량 및 소비량이 세계에서 최상위권의 나라이며, 역사적으로는 유럽 전체로 와인 문화를 전파한 유럽 와인의 아버지라 할 수 있다. 이태리의 국민들은 식전주(Aperitif)인 발포성 와인부터 레드 및화이트 와인, 그리고 디저트용인 그라파(Grappa)까지 다양한포도주를 즐기는 생활 습성을 가졌으며 이로 인해 이태리의포도주 산업은 계속해서 발전하여 왔다. 주요 포도주 생산지는 크게 4지역으로 북서부 지역(피에몬테, Piemonte), 북동부지역(베네토, Veneto), 중부 지역(토스카나, Toscana), 그리고 남부 지역(시칠리아 섬, Sicilia) 이다. 남북으로 길게 뻗은 국토로 지중해성 기후와 지역마다 다양한 지형, 토양 및 기후에 의해 이태리는 전국에 걸쳐 와이너리가 분포하고 있다. 생식용 포도나무 수형은 풀리아 덕식으로 우산형 수형과 비슷하다. 지역의 특색을 대표할 수 있는 포도품종을 재배하며, 생식용은 빅토리아, 이탈리아, 센테니얼, 블랙펄 등의 품종과, 양조용으로는 산죠배제, 메르롯 등의 품종이 주로 재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지역의 기후와 환경에 적합한 품종을 선택하고 재배방식을 발전시켜 외국산 포도와의 경쟁력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Italy is one of the world's highest countries in the viewpoints of grape growing area and production, wine production and consumption. Historically, Italy has been called as a father of the European wines which spreaded a wine culture to other countries. Because the Italian people had been accustomed to enjoying the various wine in their life, the wine industry continued to develop in Italy. The major wine production areas are Piemonte, Veneto, Toscana, and Sicilia in Italy. Italy is located north and south long in the Mediterranean coast, and shows the various characteristics in the fields of terrain, soil, and climate conditions, a large number of the wineries a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whole country. Popular trellis system for table grape varieties is Apulia tendone which is similar to Korean umbrella-shape training system. Several famous grape cultivars including 'Victoria', 'Italia', Centennial', and 'Black Pearl' for fresh fruit and 'Sangiovesse' and 'Merlot' are grown in Italian major grape production areas. Italian grape production with their own developed system can be an informative model in Korean grape growers for increasing competition power against ones imported from foreign countries.

저자
  • 안순영(영남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Soon-Youn Ahn
  • 유영산(대구가톨릭대학교) | Young San Yu
  • 윤해근(영남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Hae Keun Yu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