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학 졸업예정자의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가 구직효능감 및 구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s of Job Search Efficacy and Job Search Outcomes Obtained by Participating in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of Senior Students in Universi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4701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14.21.5.1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청년실업이 심각한 상황에서취업률은대학 평가의 주요 지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들어 대학에서 취업률 향상을 위해 운영하고 있는 취업지원프로그램에 대한 대학 졸업예정자의 참여가 구직효능감 및 구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전·충청지역의 6개 대학 4학년 졸업예정자 3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그 중 연구에 적합하지 않은 데이터를 제외하고 38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대학졸업예정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는 학점이나 자격증 준비가 소홀했던 학생일수록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취업캠프,취업특강,취업박람회,취업강좌,취업동아리,취업상담 등의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는 구직효능감 상승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그러나 취업상담을 제외한 취업지원프로그램별 참여횟수가 높아질수록 구직효능감 증진에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셋째,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는 이력서 제출 등의 구직성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취업박람회의 참여횟수가 높아질수록 이력서 제출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취업지원프로그램의 운영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In a situation when the unemployment rate of young people is a serious social problem, the employment rate has become a key indicator of university assess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ob Search Efficacy and Job Search Outcome obtained by participating in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of senior students, run by universiti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employment rate. To achieve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for 388 senior students of six universities in the Taejon and Chung Cheong area. The data of 385 senior students were analysed, except those not suitable for the research.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on rate of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in connection with individual peculiarities of senior students showed that participation possibility for the program was higher for the students neglectful of their grade or preparation of certificates useful for the job search. Second, the participation in Job Supporting Programs such as Job Search Camp, Special Lectures on the Job Search, Job Search Fair, Job Search Course, Job Search Club and Job Search Consultation, have an important effect on the enhancement of Job Search Efficacy. But as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each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 except Job Search Consultation, gets higher, it is shown that it does not have any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the increase of Job Search Efficacy. Third, the participation of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affects positively on the Job Search Outcome, such as submitting resume, but as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the Job Search Fair is increased, it showed that it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ubmission of a resume. On the basis of these research result, academic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practical implication of the operation of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 and the following researches are propos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청년실업에 대한 주요이론
  2. 대학의 취업지원프로그램
  3. 구직효능감과 구직성과
 Ⅲ. 연구방법
  1. 연구가설
  2. 연구변수의 조작적 정의
  3. 연구대상 및 측정도구
 Ⅳ. 연구결과
  1.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
  2. 가설검증
 Ⅴ. 결 론
 참 고 문 헌
 
저자
  • 배성숙(공주대학교 경영학과 박사과정) | Bea, Sung Sook
  • 장석인(공주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 Chang, Sug I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