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해 후포분지 퇴적물의 입도와 광물 분석을 통한 고환경 해석 KCI 등재

Paleoenvironmental Reconstruction of the Hupo Basin Using Grain Size and Mineral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498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동해 후포분지의 고환경을 규명하기 위해 HB 13-2 코어를 대상으로 퇴적물의 입도 분석 및 XRD, XRF를 통한 광물 분석을 실시하였다. HB 13-2 코어 퇴적물은 0.4 mbsf를 기준으로 엽리가 미약하고 생교란작용이 나타나는 퇴적상과 생교란작용이 하부로 갈수록 강해지는 두 개의 퇴적상으로 구분된다. 0-0.82 mbsf 구간에서의 비응집성 실트(sortable silt) 함량의 갑작스러운 증가와 상부층준에서의 민감입도 요소의 변화는 대마난류의 영향이 증가하였음을 보여준다. 퇴적물의 주 구성광물은 석영, 미사장석, 정장석, 알바이트와 더불어 녹니석, 캐올리나이트, 일라이트와 같은 점토광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시료의 깊이 및 입도와 크게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코아시료의 퇴적기간 동안 수문학적 변화는 크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1.4 mbsf부터 점토광물의 결정도가 감소하고 S/I 피크가 증가하는 현상은 온난다습한 기후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Holocene plaeoenvironmental changes were interpreted by grain size and mineral analyses of a piston core (HB 13-2), obtained along the western slope of the Hupo Basin, Korea. The core sediments are characterized by two discrete, sedimentary facies: upper unit (0-0.4 mbsf) dominated by bioturbation structures with weak lamination, and lower unit (0.4-3.3 mbsf) characterized by intensified bioturbation toward bottom. Analysis of sensitive grain size and sortable silt demonstrated that the inflow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TWC) into the Hupo Basin strengthen from the period of sediment deposition over 0.82 mbsf. The minerals of the core sediments are composed mainly of quartz, microcline, orthoclase, albite and clay minerals including chlorite, kaolinite and illite. No noticeable changes of the mineral percentage was observed according to the grain size and depth of the samples. The integral breadth (δ˚2θ) of clay minerals from 1.4 mbsf to top layer shows an increasing trend, which clearly means climate warming from the period of sediment deposition above 1.4 mbsf. This interval correlates with the Holocene climate optimum at Mid Holocene.

저자
  • 전창표(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Jun, Chang-Pyo
  • 김창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해연구소 독도전문연구센터) | 김창환
  • 김영규(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김영규
  • 이성주(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이성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