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오대산 국립공원 계방산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KCI 등재

Community Distribution on Mountain Forest Vegetation of the Gyebangsan Area in the Odaesan National Park,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619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오대산 국립공원 계방산(해발고도 1,577 m) 일대의 산 지삼림식생은 산지낙엽활엽수림, 산지습성림, 산지침엽수 림, 아고산침엽수림, 아고산활엽수림, 식재림으로 세분되 었으며, 기타식생으로 다래군락, 농경지 등이 조사되었다. 상관대분류에 의하여 구분된 각각의 산지삼림식생을 구성하고 있는 분포군락수는 산지낙엽활엽수림은 33개 군락, 산지습성림 41개 군락, 산지침엽수림 8개 군락, 아 고산침엽수림 4개 군락, 아고산활엽수림 2개 군락, 식재 림 6개 군락, 기타식생 4개 군락이 조사되었다. 조사된 주요 군락의 분포 비율을 보면 산지낙엽활엽 수림은 신갈나무군락이 30,909,942.967 m2의 80.220% 로 가장 높은 분포 비율로 조사되었고, 굴참나무군락이 1,067,479.335m2의 2.770%를 차지하고 있으며, 계방산 일대 산지낙엽활엽수림의 65.755%는 신갈나무가 우점 또는 차우점종으로 분포하고 있다. 산지습성림은 물푸레 나무- 가래나무군락이 전체의 10.955%를 차지하고 있으 며, 물푸레나무와 상층부의 식피율이 비슷하여 혼생군락 을 이루고 있는 군락은 10개 군락으로 전체의 32.776% 를 차지하고 있다. 산지침엽수림은 소나무와 이와 혼생 하는 군락이 전체의 100%로서 산지침염수림은 소나무 가 상층부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나는 군락의 양상을 나타 내고 있다. 기타식생에서 아고산침엽수림은 전나무- 신갈 나무군락 등 총 4개 군락이 조사되었으며 오대산 국립 공원 전체 식생면적의 4.980%를 차지하고 있다. 아고산 활엽수립은 사스래나무- 층층나무군락 등 총 2개 군락이 조사되었으며 오대산 국립공원 전체 식생면적의 0.006% 를 차지하고 있다. 식재림은 일본잎갈나무가 식재림 전 체의 51.652%로 가장 많이 식재되었으며, 자작나무가 38.975%, 잣나무가 7.969%로 3개 수종이 전체의 98.565 %로 대부분이 이들 3종에 의하여 식재되어졌다. 결론적으로 오대산 국립공원 계방산 일대의 산림식생 은 신갈나무가 최상층부의 우점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종들과 관련된 수많은 군락들은 식생천이 및 기후 적 요인들에 의하여 군락 대체가 매우 빠르게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지역 일대 잠재 자연 식생의 주요종은 산지낙엽활엽수림은 신갈나무, 산지습성림은 가래나무, 들메나무, 산지낙엽활엽수림은 신갈나무, 산지 습성림은 물푸레나무, 가래나무, 들메나무, 산지낙엽활엽 수림과 산지습성림의 경계부 중 습도가 높은 계곡부는 층층나무, 들메나무, 사면부는 신갈나무로 대체가 빠르 게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아고산의 침염수림은 기후온난화, 인위적 교란 등에 의하여 점차적으로 낙엽 활엽수의 분포비율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The mountain forest vegetation of Gyebangsan (1,577 m) in Odaesan National Park is classified into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mountain valley forest, coniferous forest, subalpine coniferous forest, subalpine deciduous forest, plantation forest, and other vegetation which includes Actinidia argute community and agricultural land. As for the number of communities distributed in the each forest vegetation which were categorized by the physiognomy classification,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had 33 communities, mountain valley forest 41 communities, coniferous forest 8 communities, subalpine coniferous forest 4 communities, subalpine deciduous forest 2 communities, plantation forest 6 communities and other vegetation 4 communities. Regarding the distribution rate of communities in the vegetation, in th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ccounted for 80.226% with 30,909,942.967m2, followed b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of 2.771% with 1,067,479.335m2. 55.463% of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in the Gyebangsan had Quercus mongolica as a dominant or second dominant species. In the mountain valley forest, Fraxinus rhynchophylla - Juglans mandshurica community accounted for 10.955%. And there were ten mixed communities having Fraxinus rhynchophylla and upper layer at a similar level of coverage, taking up 32.776%. In the coniferous forest, Pinus densiflora and the community living with Pinus densiflora accounted for 100%, showing that the coniferous forest has the community with Pinus densiflora as a dominant species at upper layer. For other vegetation, subalpine coniferous forest had a total of four communities including Abies holophylla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accounted for 4.980% of vegetation area of Odaesan National Park. Two communities including Betula ermani - Cornus controversa community were found in the subalpine deciduous forest, taking up 0.006% of total vegetation area of Odaesan National Park. Regarding plantation forest, Larix leptolepis was planted the most with 51.652%, followed by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with 38.975%, and Pinus koraiensis with 7.969%. These three species combined accounted for 98.565%. In conclusion, the forest vegetation found in the Gyebangsan of Odaesan National Park has Quercus mongolica as a dominant species at the top layer. A lot of other communities related with this species are expected to be quickly replaced due to vegetation succession and climatic causes. Therefore, Quercus mongolica is expected to become the main species in th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Fraxinus rhynchophylla, Juglans mandshurica and Fraxinus mandshuricain the mountain valley forest. Around the border line between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and mountain valley forest, highly humid valley area is expected to be quickly taken up by Cornus controversa and Fraxinus mandshurica, and the slope area by Quercus mongolica. However, in the subalpine coniferous forest, the distribution rate of deciduous broad-leaved trees is expected to increase due to climate warming.

저자
  • 김창환(전북대학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 Kim Chang-Hwan Corresponding author
  • 오장근(국립공원관리공단) | Jang-Geun Oh
  • 강은옥(전북대학교 대학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 Eun-Ok Kang
  • 유칠선(전북대학교 대학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 Chil-Sun Yun2
  • 임진근(전북대학교 대학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 Jin-Keun L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