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미국 학교정원운동(School Garden Movement)의 발전과정 KCI 등재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School Garden Movement in the US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632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학교정원운동의 사상적 배경과 그 발 전과정을 고찰한 후 국내 학교정원 교육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 다. 연구결과, 19세기 말, 유럽의 진보주의 교육사상과 미국의 Nature-Study 교육사상이 미국 학교정원운동의 사상적 배경이 되 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정원운동의 발전과정은 형성, 쇠퇴, 재부 흥의 과정을 거쳤다. 1891년을 시작으로 1914년까지 학교정원은 교육개혁차원에서 국가적인 학교정원운동으로 형성되었다. 그러 나 1914년부터 1918년까지 학교정원은 세계대전을 위한 식량생 산의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전쟁이 끝난 이후 학교정원운동은 쇠퇴 의 양상을 보였고 1950년대 이후 기술(technology)이 주도하는 사 회가 되면서 학교정원이 점차 사라졌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심 각해지는 어린이 비만과 자연결핍의 문제를 개선하고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학교정원운동이 새롭게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학교정원 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정 원의 존재목적을 명확하게 정의해야 한다. 둘째, 교과목과 연계된 학교정원 커리큘럼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학교정원운동의 대중 화를 위해 개척가적 리더십이 필요하다. 넷째, 교육현장에 성공적 으로 구현되기 위해서 다양한 분야의 파트너십이 필요하다. 마지막 으로 지역사회와 학교상황에 맞는 융통성 있는 학교정원 교육모델 이 필요하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some implications for the school gardening programs in Korea by examining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school garden movement in the USA. The study results find that the school garden movement had been emerged from the philosophical backgrounds shaped by the educational ideas in European progressive education and American Nature-Study movement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he development of the American school garden movement has clearly demonstrated a process of its formation, decline, and revival. The school garden movement from 1891 to 1914 had been driven by national efforts for school reform purposes. Then the school gardens from 1914 to 1918 had been replaced for the purpose of food production in the midst of the First World War. The school garden movement began to diminish after the end of the war, and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in the 1950s even pushed it in its extinction. However the school garden movement has been resurged to be widespread from 1990s due to the following efforts both to resolve the problems of childhood obesity and nature-deficit, and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are suggested for the school gardening programs in Korea. First, the purpose of the school garden must be clarified. Second, the school garden curriculum integrated with school subjects must be developed. Third, it is necessary to have a pioneering leadership to make the school garden movement widespread. Fourth, it is required to have partnership in various fields to facilitate successfully the school gardens in their school settings. Finally, it is also demanded a flexible school gardening model suitable to its own community and school context.

저자
  • 금혜진(Green Hope) | Hye Jin Keu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