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사료 단백질 함량 증진을 위한 트리티케일과 콩과작물 혼파 효과 KCI 등재

Effect of Mixed Seeding between Triticale and Legume crops for Increasing Protein Contents in For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637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남부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료맥류의 생산이 적은 중 북부지역에서 안정적인 조사료 최대생산과 사료가치 향상 을 위한 최적 혼파조합, 혼파비율, 재배법 확립을 위하여 연 구한 결과 트리티케일과 크림슨클로버 혼파에서는 건물수 량은 트리티케일에 크림슨클로버를 8:2의 비율로 처리한 혼 파조합에서 1,464 kg/10a로 가장 많았으며, 트리티케일이나 크림슨클로버 단파보다 혼파에서 수량이 많았다. 혼파 비율 에 따른 수량 차이는 없었으나 파종유형에 따른 수량차이를 보면 조파보다는 산파에서 수량이 많았다. 트리티케일과 콩과작물의 혼파조합 및 비율에 따른 사료가 치에서 조지방(CP) 함량은 크림슨클로버 단파구가 17.2%로 트 리티케일 단파구의 7.4%에 비해 높았으며, 트리티케일과 크림 슨클로버를 7:3의 비율로 혼파한 시험구에서 조단백질 함량이 9.0%로 개선되어 트리티케일과 콩과 작물의 혼파에 의하여 단 백질을 포함한 사료가치의 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central northern area that has a smaller production of winter forage crop compared to the southern areas, in order to identify the optimal mix of seeding, mix ratio and seeding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mixed seeding of triticale and crimson clover, the mix of triticale+crimson clover, mixing ratio is 8:2 (w/w), had the largest dry weight of 1,462 kg/10a, which was more than either single seeding of triticale or crimson clover. Although there were no total quantity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mix ratios, there were differences in quantity between sowing types with broadcasting seeding is more than in narrow strips seeding. In forage value of mixed seeding combination, crude protein contents in single seeding of crimson clover showed the highest value at 17.2%, and in single seed of triticale showed the lowest at 7.4%. In mixed seeding combination the crude protein contents were highest in triticale+crimson clover, mixing ratio is 7:3 (w/w), at 9.0%. The mixed seeding between triticlale and legume crops will helpful for increasing forage value.

저자
  • 박태일(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Tae-Il Park
  • 박광근(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Kwang-geun Park
  • 강현중(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Hyeon-Jung Kang Corresponding author
  • 노재환(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Jae-Hwan Noh
  • 송태화(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Tae-Hwa Song
  • 장윤우(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Yun-Woo Jang
  • 박형호(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Hyeong-Ho Park
  • 오영진(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Young-Jin Oh
  • 조상균(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Sang-Kyun 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