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위성영상과 GIS를 이용한 묘향산 토지피복 분석 KCI 등재

Use of Satellite Images and GIS for Analyzing Land Cover Types in Mount Myoha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699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정보시스템과 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하여 묘향산의 산림과 훼손 지역의 토지피복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Arc/Info와 ArcView, 그리고 ENVI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묘향산의 산림과 토지피복과 경관 변화를 분석하였다. 2009년에 쵤영된 4장의 IKONOS 영상과 ENVI 영상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토지와 산림피복 분석을 실시하였다. 산림식생분석이외에 훼손된 산림을 관리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데이터 베이스의 구축과 더불어 사용자 메뉴가 개발되었다. 식생과 토지피복 데이타베이스는 Arc/Info를 이용하여 구축되었고 주제도는 ArtcView를 통해 만들어졌다. 무감독 분류기법 을 통해 산림 훼손 지역, 개발지역, 양호 식생 지역, 그리고 기타등 4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토지피목 분석을 진행하였다. 묘향산의 전체 면적은 약 4,210ha로 산출되었으며, 양호 식생지역은 2,273ha로 계산 되었다. 장기적으로 북한의 산림과 토지이용 변화특성과 경관분석을 이해하기에는 지리정보시스템과 위성영상을 이용한 원격탐사 기법을 적용한 토지 피복분석이 유용함을 나타내었다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land cover types of Mount Myohang using the application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GIS) and Remote Sensing technologies to understand the degradation of the forests. This research was accomplished by using Arc/Info, ArcView, and ENVI along with satellite images. Four IKONOS images of 2009 were used for land cover and forest classification analysis with ENVI image processing software. The study area was selected to allow study of forest classification, land cover changes, and scenery analysis. Besides forest classification analysis, the forest management system was also designed to monitor degraded forests by developing a database and user-friendly interface menus. The unsupervised classification method was applied to classify four types land cover types: forested area, developed area, deforested area, and others. Spatial and attribute database were built with Arc/Info and thematic maps were created with ArcView. The analysis of the classification revealed that the total amount of forested area was calculated as 4,210㏊ and well-preserved area was calculated as 2,273㏊. It was obvious that land cover classification analysis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were significantly useful for understanding long-term land cover and forest changes in North Korea.

저자
  • 조성민(호남대학교 조경학과) | Cho, Sung Mi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