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산촌생태마을 운영실태와 활성화 방안 연 KCI 등재

Study of the Operation Status and Revitalization for Mountain Eco-Villag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700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전남지역의 산촌생태마을의 운영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향후 여건변화에 따른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전남지역의 산촌생태마을은 1996년 곡성 원달마을을 시작으로 2010년까지 24개 마을이 조성되 었다. 2011년부터는 산촌생태마을 조성사업은 어촌종합개발사업,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과 함께 권역단위 종합정비사 업으로 통합되어 추진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2010년까지 조성된 전남지역의 24개 마을을 대상으로 문헌조사, 현지조사를 통해서 운영 실태를 파악하였다. 산촌마을의 문제점으로는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인하여 산촌에서의 농업의 활력이나 마을기능이 저하되었고 이로 인해 노동력 부족으로 산촌경작지나 자연환경에 대한 경관창출 및 환경정비가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설중심의 생활환경개선과 생산기반조성사업에 집중적으 로 투자됨으로 지역 관광 활성화를 위한 소프트웨어 중심 계획이 미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시설에 대한 인력부족이나 전문성 미비로 유지관리나 운영관리 이용이 저조하거나 관리가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고, 시설중심의 체험프로그램 운영과 주변 지역자원과의 연계성 미비로 숙박과 체험시설 위주의 단순한 프로그램 운영으로 생산이나 생활, 전통문화에 대한 프로그램이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문제점을 토대로 산촌생태마을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산촌다움의 유지 및 복원을 위한 산촌경관 재생이다. 둘째, 산촌의 지역성을 창조하는 생활과 생산문화 재생이다. 셋째, 지역기반형 운영 프로그램 개발이다. 넷째, 건강지향형 지역특화산업과 융·복합이다. 다섯째, 지역자원과 연계한 그린투어리즘 전개이다. 여섯째 수요 중심의 홍보마케팅 강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operating mountain eco-villages in the Jeonnam area and to determine methods to help the villages adjust to new conditions. A total of 24 eco-villages had been built in the Jeonnam area by 2010, beginning with the Gokseong Wondal Village in 1996. Since 2011, the mountain eco-village construction project has been jointly promoted with the rage sphere unit comprehensive maintenance project, comprehensive fishing village development project, and agricult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Thus, this study uses field investigations and a literature review of villages in the Jeonnam area to examine the overall revitalization plan for mountain eco-villages. Environmental maintenance remains a core problem for mountain villages: both the natural environment and arable land have suffered due to a shortage of manpower resulting from decreased population and an aging society. In addition, a software-centered plan for revitalization of the local tourist industry remains incomplete due to concentrated investment in facility-centered improvements. Furthermore, it is evident that facilities have been underutilized because of poor operational management and maintenance. Also, programs devoted to manufacturing and traditional culture have been ineffective due to a lack of connectivity with surrounding areas. To address the problems noted above, the following agenda is proposed for revitalization of mountain eco-villages. First, landscapes must be maintained and regenerated. Second, it is important to regenerate the production culture and general lifestyle of each eco-village in order to underscore their unique character. Third, region-based operation programs must be put into place. Fourth, a convergence between the project and each region’s health-oriented specialized industry must be acknowledged. Fifth, it is desirable to develop green tourism in connection with regional resources. Finally, it is necessary to enhance public relations and marketing plans.

저자
  • 곽행구(전남발전연구원) | Gwak, Haeng Go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