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몽골 중부 둘란하이한 지역의 W-Mo 부존 특성

Characteristics of W-Mo Mineralization in Dulaankhaikhan area, 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784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산업 (Mineral science and industr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몽골 광물자원청은 몽골 항가이 희유금속 광화대 내 둘란하이한 W-Mo 산 출지에 대해 공동조사를 하였다. 몽골 항가이 희유금속 광화대 둘란하이한 W-Mo 산출지에 대한 지 질광상 조사결과 텅스텐 함량이 높은 광화점들을 발견하였고 텅스텐 광석 광물은 철망간중석, 철중 석, 망간중석으로 분석되었다. 실루리아기 호톤트 층의 규암에서 채취한 시료의 텅스텐(WO3) 함량이 0.11-4.43%로 분석되었고, 페름기 델거한 복합체의 페그마타이트에서 채취한 시료의 텅스텐 함량이 137-3844ppm으로 분석되었다. 조사지역에서 채취한 시료들의 전체 R2O3의 평균값은 473ppm으로 지 각의 평균 함량인 200ppm에 비해 약 2.5 배 정도 되는 값을 가지며 가장 높은 시료는 1326ppm으로 약 6.5 배 정도 되는 값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요인분석 결과에 따르면 둘란하이한 지역 내 텅스 텐 함량이 높은 두 지역의 광화 작용은 상관관계의 유사성을 보이며 따라서 유사한 기원을 갖는 것으 로 판단된다.

KIGAM and MRAM (Mineral Resources Authority of Mongolia) performed joint researches on geological survey of Dulaankhaikhan W-Mo occurrences areas in southeastern part of Khangai region. XRD results of tungsten containing quartz vein sample show that tungsten minerals are wolframite, hubnerite and ferberiteore. WO3 grade of samples obtained in Silurian Khotont formation is 0.11-4.43% and that of samples obtained in Permian Delgerkhan complex is 137-3844 ppm. Average total R2O3 of samples obtained in survey area is 473 ppm which is 2.5 times larger than that of Earth’s crust. The highest total R2O3 is 1326 ppm. Factor analysis results show that two areas of high tungsten contents have similar correlations with tungsten, and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se two areas have the similar origin of mineralization.

저자
  • 이범한(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 Bum Han Lee Corresponding author
  • 김인준(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 In Joon Kim
  • 허철호(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 Chul-Ho H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