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구 온난화와 사과 복숭아순나방의 발생시기 변화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1199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여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성충의 유살수를 2-3일 간격으로 조사하 였으며, 시험장내의 기상자료와 Weibull 함수식을 이용하여 복숭아순나방 월 동유충의 우화시기모형을 구하였다. 우화시기 모형은 r2값이 0.93으로 구해진 수식이 적산온도와 누적우화율과의 관계를 잘 설명하였다. 또한, 누적 우화시 기 모형을 바탕으로 사과시험장 인근 의성지역의 1973부터 2008년까지의 기 상온도 변화에 따른 복숭아순나방 초발일과 50%우화일, 우화 완료일을 연도 별로 비교하였다. 복숭아순나방의 연도별 초발생일을 비교한 결과, 1970년, 1980년 1990년, 2000년대각 각각 4월11일, 4월 13일, 4월 13일, 4월 9일이였다. 2000년대가 80-90년대에 비하여 초발생일이 약 4일 정도 빨랐으며, 70년대에 비하여 2일정도 빨랐다. 복숭아순나방 50% 우화일은 연대별로 각각 4월 27일, 4월 28일, 4월 28일, 4월 26일로 2000년대가 80-90년대에 비하여 약 2일정도 빨랐으며, 복숭아순나방 100% 우화일은 각각 6월 1일, 6월 1일, 6월 1일, 5월 30일로 복숭아순나방 50%우화일과 같이 2000년대가 80-90년대에 비하여 약 2 일정도 빨라서, 대체로 2000년대가 1970-1990년대에 비하여 복숭아순나방 월 동성충의 발생시기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저자
  • 최경희(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시험장)
  • 이동혁(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시험장)
  • 이순원(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시험장)
  • 김동순(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생물산업학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