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가뭄우심도를 활용한 가뭄의 시공간적 분포특성분석 KCI 등재

Analysis on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Drought using Potential Drought Hazard Ma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369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를 이용한 가뭄 빈도해석을 통하여 남한지역에서 발생했던 과거가뭄사상의 시, 공간적 분포 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가뭄의 심도별, 지역별 발생빈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Drought Spell 분석을 실시하였고, 또한 남한지역을 대상으로 심한 가뭄에 대한 가뭄우심지역의 공간적 분포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가뭄의 지속기간별 가뭄빈도해석을 통해 기상관측소별 SDF (severity-duration-frequency) 곡선을 작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남한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가뭄우심도(Potential Drought Hazard Map)를 작성하였다. 가뭄단계별 과거의 발생빈도를 분석한 결과, 금강, 낙동강, 섬진강 유역에서 심한가뭄과 극한가뭄단계의 발생빈도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뭄빈도해석을 통해 작성된 SDF 곡선에서도 한강유역에 위치한 서울관측소에 비해 금강, 낙동강, 섬진강 유역에 위치한 대전, 대구, 광주 관측소의 재현기간별 가뭄심도가 심하게 나타났다. 가뭄빈도해석을 통해 작성된 가뭄우심도에서는 한강 유역과 낙동강 유역의 상류 지역에 비해 금강, 섬진강, 영산강 유역이 가뭄에 취약했던 지역으로 분석되었으며 가뭄단계별 발생빈도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계절별 가뭄우심도의 경우 봄철에 가장 자주 가뭄이 발생하였으며 짧은 지속기간의 가뭄이 자주 발생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analyze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historical drought events occurred in Korea by way of drought frequency analysis using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nd Drought spell was executed to estimate drought frequency as per drought severity and regions. Also, SDF (severity-duration-frequency) curves were prepared per each weather stations to estimat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for the severe drought areas of Korea, and Potential Drought Hazard Map was prepared based on the derived SDF curves. Drought frequency analysis per drought stage revealed that severe drought as well as extreme drought frequency were prominently high at Geum River, Nakdong River, and Seomjin River basin as can be seen from SDF curves, and drought severity was found as severer per each drought return period in the data located at Geum River, Nakdong River, and Seomjin River basins as compared with that of Seoul weather station at Han River basin. In the Potential Drought Hazard Map, it showed that Geum River, Seomjin River, and Yeongsan River basins were drought vulnerable areas as compared to upper streams of Nakdong River basin and Han River basin, and showed similar result in drought frequency per drought stage. Drought was occurred frequently during spring seasons with tendency of frequent short drought spell as indicated in Potential Drought Hazard Map of different season.

저자
  • 이주헌(중부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 Lee, Joo Heon 교신저자
  • 조경준((주)대경E&C 대표이사) | Cho, Kyeong Joon
  • 김창주(중부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 Kim, Chang Joo
  • 박민재(중부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 Park, Min J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