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꿀풀 추출물이 돌연변이원인 수은독성으로 손상된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에 미치는 보호 효과 KCI 등재

Protective Effect of Prunella vulgaris L. var lilacina Nakai Extract on Cultured NIH3T3 Fibroblasts Damaged by Mutagenic Mercury-Induced Toxic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916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돌연변이원(mutagen)의 하나인 메틸수은(methylmercuric chloride, MMC)의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를 재료로 메틸수은의 독성을 산화적 손상측 면에서 조사하였으며, 또한 메틸수은의 세포독성에 대한 꿀풀 (Prunella vulgaris L. var lilacina Nakai) 추출물의 영향을 세포 생존율을 비롯한 SOD-유사 활성(SOD-like activity) 및 지질과산 화(lipid peroxidation, LP) 저해능과 같은 항산화 측면에서 분석 하였다. 본 실험에서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에 15∼35uM의 메 틸수은을 처리한 결과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세포생존율이 대조군 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또한 XTT50값이 34.2uM에서 나타나 고독성(highly-toxic)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항산화제 인 vitamin E는 메틸수은에 의하여 감소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메틸수은의 세포독성에 대한 꿀풀 추출물의 영향에 있 어서, 꿀풀 추출물은 메틸수은에 의하여 감소된 세포생존율을 유의 하게 증가시킴으로서 메틸수은의 세포독성을 방어하였으며, 동시 에, SOD-유사 활성 및 지질과산화 저해능을 보임으로서 항산화능 을 나타냈다. 위의 결과로 부터 메틸수은의 세포독성에 산화적 손 상이 관여하고 있으며, 동시에 꿀풀 추출물은 항산화능에 의하여 메틸수은의 산화적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어하였다. 따라서, 꿀풀 추출물과 같은 천연물질은 메틸수은과 같이 산화적 손상과 관련된 중금속의 독성을 방어 내지는 치료하는데 있어 항산화 소재로서의 유효한 기능이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ytotoxicity of mercury, mutagene and the protective effect of Prunella vulgaris L. var lilacina Nakai extract (PVE) on methylmercuric chloride (MMC)-induced cytotoxicity in the cultured NIH3T3 fibroblasts. For this study, cell viability was measured after NIH3T3 fibroblasts were treated with 15∼35uM concentrations of MMC for 72hours, respectively, and also, both of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and inhibitory activity of lipid peroxidation (LP) were assessed. In this study, MMC decreased cell viabil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vitamin E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viability which decreased by MMC-induced cytotoxicity in these cultures. In the protective effect of PVE, PVE prevented MMC-induced cytotoxicity by a significant increase of cell viability as well as SOD-like activity and inhibitory activity of LP.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oxidative stress is involved in the cytotoxicity of MMC, and also PVE showed the protective effect on MMC-induced cytotoxicity via antioxidative effect such as SOD-like activity and inhibitory activity of LP. Conclusively, the natural component as PVE may be a putative resources for the detoxification of heavy metals associated with the oxidative str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실험재료
  2. 실험방법
   1) 약제 제조
   2) 꿀풀 추출
   3) 세포 배양
   4) 메틸수은의 처리
   5) Vitamin E 처리
   6) 꿀풀 추출물 처리
   7) 세포생존율 분석
   8) SOD-유사 활성(SOD-like activity) 측정
   9) 지질과산화 측정
  4. 자료분석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1. 세포생존율 측정
  2. 메틸수은에 대한 vitamin E의 영향
  3. 메틸수은의 세포독성에 대한 꿀풀 추출물의 영향
  4. SOD-유사 활성 측정
  5. 지질과산화 측정
 Ⅳ. 적요
 V. References
저자
  • 오영희(원광대학교 보건보완의학대학원) | Young Hee Oh
  • 박승택(원광대학교 의과대학) | Seung Taeck Par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