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롱기누스의 시학과 엘리엇 KCI 등재

Longinus’s Poetics and T. S. Elio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940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T.S.엘리엇연구 (Journal of the T. S. Eliot Society of Korea)
한국T.S.엘리엇학회 (The T. S. Eliot Society Of Korea)
초록

본 글은 롱기누스의 「숭고에 관하여」에 나타난 그의 창작관을 토대로엘리엇의 창작관과 비교해 보았다.
먼저 롱기누스는 문체상의 우수성을 언어표현의 뚜렷한 탁월성이라 주장하는데 이는 엘리엇에게 평범한 또는 일상적인 언어표현으로 나타 난다. 그러면서 롱기누스는 지나친 과장을 절제하고 적절한 과장을 권 유하면서 창작자의 중간조절장치를 요구한다. 이것이 엘리엇에게는 객 관적 상관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롱기누스의 지적통제와 맥을 같이 한다. 다시 말해 작가는 지나치게 독창성을 추구한 나머지 미성숙함에 빠져들어서는 안되며 이를 위해서는 선배작가들의 장단점을 살펴 보아 야한다는 점에 있어서 롱기누스와 엘리엇은 서로 유사하다. 또 한 가지 지시대상의 명확화를 롱기누스는 들고 있다. 이는 청자의 집중력을 의 도한 롱기누스의 주장이라 할 수 있으며 엘리엇 또한 이를 작품에서 그 대로 보여주고 있다.

Longinus’s “On the Sublime” mainly focuses on a writer’s narrative methods. He classifies the excellent methods of writing as follows : 1. striking diction; 2. using a suitable hyperbole based on a fact, not excessive bombast; 3. controlling a writer’s emotion by using ballast or stabilizer; 4. imitation and emulation of the greatest prose writers and poets of antiquity; and 5.using periphrasis. All these characteristics that Longinus suggests are very similar to Eliot’s. Eliot tries to use a daily dialogical style, a suitable hyperbole, and an objective correlative to avoid his own emotions. As Longinus suggests, Eliot depends on the dead poets, and uses a variety of rhetorics, including periphrasi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롱기누스의 시학 그리고 엘리엇의 그것 읽기
 3. 나오는 말
 Works Cited
저자
  • 이철희(상지대학교) | LEE Cheol-H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