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해상도 기후시나리오를 이용한 서울지역 배수시스템의 기후변화 영향 분석 KCI 등재

Climate Change Impact Analysis of Urban Inundation in Seoul Using High-Resolution Climate Change Scenari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947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기후시나리오를 이용하여 국내 대표 도시 지역인 서울특별시를 대상으로 기준기간(1971~2000년) 대비 미래기간 2020s (2011~2040년), 2050s (2041~2070년), 2080s (2071~2100년)의 기후변화에 따른 배수시스템의 영향을 평가하 였다. 이를 위해 과거 관측 강수량 자료는 기상청 관할 기상관측소와 자동기상관측망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RegCM3과 Sub-BATS 기법을 통해 역학적 상세화된 5 × 5 km 해상도 기반의 시단위 강수량 자료를 생산하였다. 과거기간 대비 미래기간 확률강우량의 변동성을 비교한 결과 과거기간 대비 2080s의 확률강우량 증가율은 28~54%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속시간 3시간, 6시간, 24시간 확률강우량의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다. 또한 배수시스템의 기후변화 영향을 직접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XP-SWMM을 이용하여 유출해석을 수행하였다. 평가 결과, 강우강도 증가로 인해 과거기간 대비 미래 3기간에 공릉1, 서초2, 신림4 배수분구의 침수발생 맨홀 수와 월류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구축되어 있는 서울시 배수시스템은 기후변화 에 취약함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기후변화 적응대책이 요구됨을 의미한다.c

Climate change impact on urban drainage system are analyzed in Seoul by using high-resolution climate change scenario comparing 2000s (1971~2000) with 2020s (2011∼2040), 2050s (2041∼2070) and 2080s (2071~2100). The historical hourly observed rainfall data were collected from KMA and the climate change scenario-based hourly rainfall data were produced by RegCM3 and Sub-BATS scheme in this study. The spatial resolution obtained from dynamic downscaling was 5 × 5 km. The comparison of probability rainfalls between 2000s and 2080s showed that the change rates are ranged on 28∼54%. In particular, the increase rates of probability rainfall were significant on 3, 6 and 24-hour rain durations. XP-SWMM model was used for analyzing the climate change impacts on urban drainage system. As the result, due to the increase of rainfall intensities, the inundated areas as a function of number of flooded manhole and overflow amounts were increasing rapidly for the 3 future periods in the selected Gongneung 1, Seocho 2, Sinrim 4 drainage system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urrent drainage systems on the selected study area are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and require some reasonable climate change adaptation strategies.

목차
1. 서 론
 2. 연구수행 방법
  2.1 기후시나리오
  2.2 편의보정기법
  2.3 미래 설계 강우량 변화 평가 방법
  2.4 도시 배수시스템 평가 방법
 3. 대상유역 및 자료구축
  3.1 기상자료 수집 및 분석
  3.2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
  3.3 배수분구 선정 및 입력자료 구축
 4. 평가 결과 및 분석
  4.1 미래 확률강우량 산정
  4.2 도시 배수시스템 영향 평가 결과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이문환(세종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박사수료) | Lee, Moon-Hwan
  • 김재표(제일엔지니어링(주) 수자원사업부 대리) | Kim, Jae-Pyo
  • 배덕효(세종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교수) | Bae, Deg-Hyo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