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TV 뉴스의 선정성이 정서, 기억, 뉴스 평가 및 갈등 지각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sensational TV news on viewers’ emotion, memory, news evaluation, and perception of social conflic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11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Broadcasting & Arts Research Institute)
초록

연구는 사회 갈등 뉴스의 선정성이 시청자의 정서 반응, 인지 반응, 뉴스 평가, 사회 갈등 지각 등 네 가지 의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75명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사회 갈등에 대한 사전 지식과 태도 등을 통제하기 위해 네 개의 해외 갈등 이슈(유럽 난민 갈등, 미국 에너지 갈등, 중국 농민공 갈등, 이집트 종교 갈등)를 선택하였고, 각 이슈를 선정적으로 보도한 뉴스와 선정적이지 않게 보도한 뉴스를 선정하여 두 개의 실험 조건을 만들었다. 피험자 중 한 집 단은 선정성이 높은 사회 갈등 뉴스를 시청하였고, 다른 한 집단은 선정성이 낮은 사회 갈등 뉴스를 시청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갈등 뉴스는 본질적으로 부정적인 분위기를 가지고 있기 마련이지만 여기에 선정성이 더해 지면 시청자의 부정적 감정을 방향(극성)과 강도(각성)의 모든 측면에서 강화시킬 수 있다. 둘째, 사회 갈 등 뉴스에 선정성을 더하면 뉴스가 전달하는 세부적인 정보에 대한 기억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높다. 셋째, 사회 갈등 뉴스의 선정성과 뉴스에 대한 신뢰성 및 흥미성 평가는 모두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선정성이 강화되면 뉴스 신뢰도는 하락하고 흥미성이 증가할 것이라는 일반의 통념과 배치된다. 넷째, 동일한 사회갈등이라도 뉴스가 자극적으로 보도하면, 시청자들은 그 갈등을 더 해결하기 어렵고, 복 잡하고, 강렬하고, 심각한 것으로 인식한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nd how sensational news affects processing of TV news about social conflicts. A laboratory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sensational news reporting of a social conflict on a TV viewer’s emotion, memory, news evaluations, and perceived severity of a social conflict. One group was shown four sensational news clips while the other group was shown four regular news clip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ose who watched sensational news (the sensational news group) felt more unpleasant and more aroused than those who watched regular news (the regular news group). Second, the sensational news group seems to recognize details of news stories better than the regular news group. Third,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news evalu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Fourth, the sensational news group perceived the reported social conflict more severe compared to the regular news group.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 문제
  1) 뉴스 선정성
  2) 뉴스 선정성과 정서 반응
  3) 뉴스 선정성과 재인 기억
  4) 뉴스 선정성과 뉴스 평가
  5) 뉴스 선정성이 사회 갈등 지각에 미치는 영향
 3. 연구 방법
  1) 피험자 및 실험 설계
  2) 실험 처치물
  3) 변인의 측정
 4. 연구 결과
  1) 조작 점검 및 가외 변인 확인
  2) 연구가설 검증
 5. 토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김세중(동국대학교 서울신문방송학과 대학원 석사과정) | Se-Jung Kim
  • 정용국(동국대학교 서울 신문방송학과) | Yongkuk Chu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