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댐 위험도 평가를 위한 수문학적 위험도 분석

Hydrologic Risk Analysis for Dam Risk Assess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179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방재학회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대표적으로 이용되는 HEC-1 단일강우사상 모형과 HEC-5 저수지 운영 모형을 연계하여 댐의 수문학적 위험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Bayesian Markov Chain Monte Carlo(MCMC) 기반의 Bayesian HEC-1(BHEC-1) 통합 모델을 개발하였고, 극치강수량 재현에 유리한 다지점 강수모의기법으로 2,000년 빈도에 해당하는 일강수량을 모의하여 연최대강수계열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극치강수량은 BHEC-1모형과 연계하여 불확실성이 반영된 대청댐 유역의 홍수수문곡선 앙상블을 구축하고, HEC-5 모형을 통해 수위로 변환시켜 비상여수로 유무, 댐 연계 여부 등을 고려한 월류 여부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저자
  • 권현한(정회원,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조교수) | Kwon, Hyun-Han
  • 김장경(정회원,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 Kim, Jang-Gyeong
  • 소병진(정회원,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 So, Byung-Jin
  • 김민지(정회원,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 Kim, Min-J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