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리산유람록에 나타난 주민생활사의 역사지리적 재구성 KCI 등재

A Reconstruction of the residents’ life through the premodern travel Records of Jiri Mountai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216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이 글은 지리산유람록에 나타난 지리산지 주민생활사의 자료 가치에 주목하여 역사지리적인 재구성을 시도한 것이다. 지리산유람록은 지리산지 주민의 생활사에 대한 풍부한 1차적 자료를 시계열적으로 제공한다. 지리산유람록이 여타 유산록과 다른 특징은 이 점에서 뚜렷이 나타난다. 이 연구는 지리산유람록에 수록된 주민들의 생활사를 정리하여 재구성함으로써, 지리산유람록에 어떤 내용적 특색이 있는지를 드러낸 연구사적 의의가 있다. 지리산유람록에 나타난 주민생활사는 환경과 생태, 취락과 주거, 토지이용과 농경, 생업과 산물, 시장과 유통, 신앙 풍속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지리산유람록에서는 지리산지의 기후 조건이 주민들의 거주와 생활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사실을 적었다. 겨울철 산지 기후는 산간 주민들의 주거와 이동 패턴도 규정했다. 지형 및 토양 조건에 관해서는 수질, 토양, 비옥도 등이 경작 조건을 관련해 언급됐고, 관련하여 토지생산성, 장수요인, 사회적 피난지대 등이 표현됐다. 삼림식생의 수직 분포와 경관에 대한 표현도 있었고, 천연림과 인공림을 포함한 수종들 및 장소 정보가 많이 나타났다.
지리산유람록에서 읍취락의 주거생활사는 하동의 입지지형과 가구 수, 주민생활사에 대한 약간의 정보가 언급되었다. 마을의 경우에는, 지리산권 산촌의 형성 및 사회적 변동과 관련한 자연적·사회적 배경, 변동의 역사적 계기, 인구의 유입과 유출, 지리산권 주거지역 평가 등의 언급이 다수 있었다. 마을의 자연적·지형적 입지유형, 마을경관, 마을 형태와 규모 등에 대한 표현들도 나타났다.
지리산유람록에서는 주민들의 토지 이용과 농지 개간에 대한 언급이 여러 차례 나왔다. 고도대에 따른 토지이용, 화전 개간 및 일제강점기의 사회적 축소, 벼농사와 관련한 관개 기술 및 모내기 등의 내용이 있었고, 주요 농업지역에 대한 표현도 나타났다. 주민들의 생업과 산물로서 임산물 채취, 농작물 및 닥나무 재배, 기타 공산품 제조와 관에 바치는 공물 등이 있었다. 화개장터의 장날 풍경도 생생하게 묘사되었고, 매매 품목, 물산의 규모와 유통 범위 등이 기록됐다.
지리산유람록에는 지리산의 여러 민간신앙소와 풍속이 기록되었는데, 이를 통해 조선후기까지 지리산지의 민간신앙이 번성했음을 알 수 있었다. 신앙소의 지리적 위치 및 모습, 신당의 관리 및 운영주체 사실 등도 기록되었고, 특히 천왕봉에 있었던 성모사의 시계열적 변화 모습도 파악할 수 있었다.

This paper studied on the residents life of Jiri Mountain region through the premodern travel Records of Jiri Mountain. The travel Records of Jiri Mountain have unique character at this point in comparative with other Mountain travel Records in Korea. I tried to reconstruct the residents life of Jiri Mountain region like as follows, mountainous environment, settlement, land use, products, market and belief from the view of the historical geography.
According to the travel Records of Jiri Mountain, mountainous climate affected the residential dwelling and moving pattern. Also, water quality and soil fertility in Jiri Mountain were written in relation to cultivation condition, land productivity. This longevity factors and social refugee sites were shown as the aspect of human social environment as well.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vegetation and landscape, and the diverse tree species including natural and artificial forest together with site information can be shown in travel Records.
The travel Records of Jiri Mountain contained on the location of town, residential house numbers and dwelling life in Hadong County. As for the mountain community, records were written on many factors, the natural and social background of village formation and development, social change, historical chances of population inflow and outflow, estimates of residential region, locational pattern, village landscape and community size.
The travel Records of Jiri Mountain included many information on the residents land use and cultivation of mountain area. Especially, those records were written about the land use according to mountainous altitude, cultivation of slash-and-burn field and social reduction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cultivation skill and rice planting in Jiri Mountain. Residents in Jiri Mountain made their livelihood by correcting forests products, farming rice or dry-field, selling handiwork.
The travel Records of Jiri Mountain described the marketplace of Hwagae vividly, including trading items, size of local products and distribution range. In those records were written on the belief places and religious customs in Jiri Mountain, also recorded the shrine management and operator that showed prevailing folk mountain spirit belief. I could know the time sequential changing aspects of the Goddess shrine in Cheonwang peak as well.

목차
Ⅰ. 머리말
Ⅱ. 환경과 생태적 배경
Ⅲ. 취락과 주거
Ⅳ. 토지이용과 농경
Ⅴ. 생업과 산물
Ⅵ. 시장과 유통
Ⅶ. 신앙 풍속
Ⅷ. 요약 및 맺음말
저자
  • 최원석(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인문한국교수 겸 남명학연구소 책임연구원) | Choi, Won-s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