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자와 서예 KCI 등재

Calligraphy and Chinese charact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315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中國學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Chinese Studies)
초록

문자는 언어를 기록하는 부호로서 문화의 일부분이고 문화의 발전을 촉진하며, 그 자체가 문화의 산물이다. 서예는 이러한 특징을 가진 문자를 떠날 수 없다. 문자학에서 문자를 연구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형태[形]ㆍ소리[音]ㆍ의미[義] 세 가지 영역이다. 여기에서 형태는 바로 서예의 연구 영역이다. 서예는 고대에 ‘서도(書道)’ㆍ‘서학(書學)’ㆍ‘서법(書法)’ㆍ‘서사(書事)’ㆍ‘서세(書勢)’ㆍ‘서장(書狀)’이라 일컬었고, 또한 이를 간단히 ‘書’라 일컫기도 하였다. 그러나 어떠한 명칭이든 간에 항상 ‘書’라는 글자가 있었다. 서예는 원래 죽백에 글씨를 쓰고 일을 기록하는 기예를 가리켰다. 이후 서예는 발전 과정에서 서체가 점차 많아지고 기법이 날로 정미해짐에 따라 문자를 서사하는 점과 획, 그리고 기운과 풍신을 나타내며, 작가의 성격ㆍ감정ㆍ취미ㆍ소양ㆍ기질ㆍ사상 등 정신적 요소를 표현할 수 있었다. 따라서 서예는 이전 사람들이 흔히 말하는 ‘소도(小道)’ㆍ‘말류(末流)’가 아니라 반대로 이것으로부터 심오한 이치를 탐구하고, 민족성을 알며, 고금의 변화를 살필 수 있는 동양문화의 정수라 하겠다.
서예는 문자 중에서도 한자와 가장 좋은 궁합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한자와 서예는 동양문화를 표현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매개체라 하겠다. 그러므로 여기에서는 먼저 한자의 특징에 대하여 살펴본 다음 한자서예의 예술관념 변천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그리고 이러한 기초에서 한자서예의 서사를 동작ㆍ지각ㆍ인지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서예의 과학적ㆍ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글의 목적은 한자의 특징을 객관적으로 서술하고, 서예의 예술관념과 서사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며 논리적으로 설명하여 동양의 특수문화 예술을 객관적으로 증명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 글을 통하여 전통문화를 선양하고 지금까지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발전을 모색하는 데에 밑거름이 될 수 있다면, 분명 현실적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文字是記錄言語的符號, 它是文化的一部分而促進文化發展, 他本身文化的産物. 書法不能離開這樣文字的特徵. 在文字學硏究文字是一般地形音義三個領域. 這裏形就是書法的硏究領域. 在古代以書法謂書道、書學、書法、書事、書勢、書狀, 或謂簡單書. 但是無論什麼名稱常有書字. 書法原指著於竹帛紀庶物的技藝. 而後書法在發展過程中漸多書體, 隨着精於技法, 出了書寫文字的點畫韻神, 能體現了書寫者的性格、感情、趣味、素養、氣質、思想等精神要素. 因此書法不是前人嘗云小道、末流, 從此探索深奧的道理而知民族性, 能察古今變化的東方文化精髓.
書法與文字中漢字是最好一對的. 因此漢字與書法是表現東方文化的最主要媒體. 所以在本文首先考察漢字的特徵和漢字書法的藝術觀念演變. 然後在這基礎上把漢字書法的書寫分動作、知覺、認知考察要提供書法的科學、理論的根據. 本文的目的是通過科學的、體系的、論理的說明書法觀念和在書寫中出現的特徵, 而要客觀地證明漢字與書法的重要性. 我希望通過本文宣揚傳統文化, 脫離到目前爲止的固定觀念, 爲新摸索能作基礎的話, 一定有現實的意義.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한자의 특징
    1. 문자
    2. 결구
    3. 시각ㆍ공간
Ⅲ. 한자서예의 예술관념
    1. 맹아기
    2. 자각기
    3. 발전기
Ⅳ. 한자서예의 서사
    1. 동작
    2. 지각
    3. 인지
Ⅴ. 나오는 말
저자
  • 곽노봉(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학과 교수) | Kwag, noh-Bong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