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주도 사라봉-별도봉-화북봉 일원의 화산층서와 화산암의 특성 KCI 등재

Volcanic Stratigraphy and Characteristics of Volcanic Rocks of the Sarabong-Byeoldobong-Hwabukbong Area, Cheju kland,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1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제주도 사라봉-별도봉-화북봉 일대에는 3개의 분석구와 이들로부터 분출한 화산분출물들이 복잡한 화산 층서를 형성하였다. 또한 별도봉 응회암에는 현무암과, 제주도 기반암중의 하나인 화강암의 암편이 나타난다. 그리고 비석거리 하와이아이트(hawaiite)에는 케르수타이트(kaersutite)가 특징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제주도 화산활동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대상이 된다. 이 지역의 최하부에는 신흥리 현무암과 별도봉 응회암이 분포한다 별도봉 응회암에는 반상 현무암과 이 지역의 기반암인 화강암의 암편을 함유한다. 그 위에 화북봉 화산활동에 의해 각섬석류의 한 종류인 케르수타이트를 다량 함유한 비석거리 하와이아이트가 피복하고 그 다음에 화북봉 분석구가 형성되었다. 그 후에 사라봉 화산활동에 의해 사장석과 감람석이 많은 건입동 하와이아이트가 분출하였고 마지막으로 사라봉 분석구가 형성되었다. 별도봉 응회암내에 포획된 현무암은 신흥리 현무암과는 암상이 다른 반정질 현무암으로, 신흥리 현무암과 기반암 사이에 또 다른 현무암층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 지역의 기반암인 화강암의 암편은 미르메카이트 조직(myrmekitic texture)과 미사장석을 보이며 K-Ar법에 의한 절대연령이 172.4Ma인 쥬라기 화강암이다.

There are three scoria cones and their eruptive materials in Sarabong-Byeoldobong-Hwabukbong area Cheju Island. And they made complicated volcanic stratigraphy. In Byeoldobong tuff, basalt and granite xenoliths are present. It is presumed that the granite is a kind of basement of Cheju island. And Biseokgeori hawaiite has many kaersutite phenocrysts. Therefore, this area is very important for the study about history of volcanic activity of Cheju island. The lowest beds are Shinheung basalt and Byeoldobong tuff. Byeoldobong tuff has xenoliths of granite and phenocrystalline basalt. After the formation of these rocks, the Hwabukbong volcanism commenced. First of all this volcanism formed Biseokgeori hawaiite that has lots of kaersutite, a member of amphibole group, characteristically. Over this rock, Hwabukbong scoria cone was formed. The next Sarabong volcanism effused Keonipdong hawaiite that has lots of plagioclase and olivine phenocrysts and then Sarabong scoria cone was made up. Basalt xenolith in Byeoldobong tuff is different from Shinheungri basalt with regard to petrography, therefore this offers suggestion about existence of another basalt between basement and Shinheungri basalt. Granite xenolith derived from the basement of this area has features of the Jurassic granite in the Korea Peninsula, for example a lot of myrmekitic texture, microcline, and absolute age (172.4 Ma) by K-Ar method

저자
  • 고보균 | Ko, Bo-kyun
  • 원종관 | 원종관
  • 이문원 | 이문원
  • 손인석 | 손인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