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과학사 활용 수업이 과학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학교 '물의 순환과 날씨변화' 단원을 중심으로 KCI 등재

Effect of Instruction Utilizing History of Science on the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Chapter of 'Water Cycle and Weather Chan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41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이 연구에서는 과학사를 활용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과학 학업 성취도와 과학과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중학생의 성취수준에 따라 조사하였다. 여중생 3학년 4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에서 대하여 과학사 활용 수업, 통제 집단에 대하여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과학사 활용 수업에서는 필수 학습요소와 관련된 과학사를 다양한 방법으로 학생들에게 소개하여, 학습자의 흥미와 STS인식을 유도하였다. 과학사 활용 수업은 전통적인 수업에 비하여 학생들의 과학 학업 성취도와 태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학사 활용수업은 과학 학업 성취도에서는 상위권에게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으며, 과학과 관련된 태도에서는 상, 중위권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이와 관련하여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한 교수-학습 자료와 수업 모형 개발은 과학사 활용 수업에 도움을 줄 수 있다.

The effects of education utilizing history of science on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s of the ninth grade student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ir achievement level,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earning materials. A total of 144 ninth grad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Instructing students using history of science was performed in the experiment group, while conventional instruction was used in the control group. The scores of both pre-test and post-test were estimated by ANCOVA. Instructions applying history of science were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 than conventional instructions. In particular, the former enhanced the achievements of the upper-level students, more than it did for the middle and lower-level students. In addition, using history of science showed a better effect on higher and middle-level students, in improving their attitudes toward science, than it did for lower-level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struction utilizing history of science should be designed based on the students' achievement level, and that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the instruction were helpful.

저자
  • 이현선(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Lee, Hyun-Sun
  • 유정문(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유정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