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경기도 시화호 탄도 해안과 한염 지역의 야외 지질 답사 수업모형에 대한 질적 분석 KCI 등재

A Qualitative Analysis on n Geological Field Excursion leaching Model on Tando Coast and Hanyom Area at Shiwha Lake In Kyounggid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43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야외 지질 학습 사례를 분석 종합하여 통합 문제 제시 단계 -답사 개괄 단계 -현장 집중지도 단계 -탐색 단계 -1차 결론 발표 단계 -재탐색 단계 -조별 토론 단계 -정리 단계 -답사 요약 단계의 새로운 야외 지질 답사 수업 모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 수업 모형을 적용한 후 학생들의 반응을 질적 분석하여 야외 지질 학습을 실시하려는 지구과학 교사들을 위한 구체적인 지도 방안을 찾아보았다. 학생들은 통합 문제와 답사 개괄을 통해 지질 답사의 방향과 전체적인 주제를 미리 알고 야외 지질 답사에 참여하게 된 것을 매우 높이 평가하였다. 또한, 지질학적 지식이 부족하고, 야외 지질 답사의 경험이 적은 까닭에 현장 집중 지도 내용이 답사 활동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그리고 관찰 내용 요약 후 그 내용을 근거로 1차 결론을 발표하는 과정을 참신하게 생각하였으며 ,조별 토론을 통해 서로 다른 의견을 나누며 최종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지도 교사는 조별 모임을 통해 통합 문제 제시와 답사 개괄을 충분히 실시하여 서로 친숙한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또한 충분한 현장 집중 지도 내용과 전달 방식을 준비하고, 사전 연구 과정에서 통합 문제를 해결하려는 관점에서 상세한 노두별 지도 지침을 마련해 두어야 한다. 그리고 결론 도출 과정을 세밀히 파악하여 추측에 의한 결론이 나오지 않게 지도해야 하며, 토론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 갈 수 있도록 지질 현상에 대한 학생들의 오개념을 사전에 숙지하고있어야 한다.

By analyzing and integrating established geological field study instances, this study offered a new geological field excursion teaching model with several steps: unifying question raising. excursion generalization. intensive field direction, searching, primary conclusion, re-searching, group discussion. adjustment, and excursion summarizing. Then by Qualitatively assaying the responses which students showed after applying this teaching model, a concrete teaching plan was sought for earth science teachers who were planning to begin geological field excursion classes. Students evaluated very highly on the unifying question and excursion generalization because these items provided a sense of direction and an overall theme for geological excursion in advance. Also. since the students had little to none geological knowledge and field excursion experience, the intensive field direction gave them a lot of help with their field excursion activities. Students thought that coming up with a primary conclusion based on the summary of what they had observed in their activities was original. and highly valued the process of sharing different opinions in group discussions and drawing out a final conclusion. Teachers should help students develop a friendly atmosphere, by organizing group activities and continuously feedlng them with uniting questions and excursion generalization within the groups. Also they should prepare enough contents for intensive field direction and ways to get their points across. In the process, they should arrange beforehand detailed instructions for every outcome, with the intention of solving the question. Furthermore. teachers should follow carefully how conclusions are drawn. instruct students not to reach conclusions based on mere assumptions, and be aware of misconceptions students have toward geological phenomenon in advance, so that the discussion can be lead in the right direction.

저자
  • 위수민(한국교원대학교) | 위수민
  • 맹승호(용문고등학교) | Maeng, Seung-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