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과학과 수업평가 기준의 역할 및 개발 방안 연구 KCI 등재

Research on the Role of Science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and How to Develop the Standar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4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 설문 조사, 수업관찰 및 교사 면담 등을 통하여 수업평가 기준의 목적, 개발이 필요한 이유, 수업평가 기준의 역할 등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현장 교사들이 생각하는 수업평가 기준 개발의 바람직한 주체가 누구이며, 수업평가 기준이 개발될 경우 누가 가장 많은 혜택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는지를 살펴보고, 나아가 수업평가(기준) 정착을 위한 선결 요건을 고찰하였다. 요약하면, 수업 평가기준은 (1) 초보자를 위한 지침, (2) 숙련된 전문가를 위한 지침서 (3) 개선 노력을 집중할 부분을 파악하는 구조, (4) 교직이외의 다른 공동체들과의 의사소통의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수업평가는 물론 수업평가 기준 개발의 주체는 교사들이어야 하며, 일반 기준과 차별화 되는 교과별 기준, 즉 과학과 수업평가 기준 개발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즉, 교과별 수업평가 기준 개발은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교육과 관련된 주요 이해당사자들이 폭넓게 참가하지 않고서는 성공하기 어렵다. 이러한 수업 평가기준 개발의 성공 여부는 이러한 평가기준이 일반 공동체, 특히 교육 공동체에 의해 수용되는 수준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urpose and role of class evaluation standards and the reason to develop these teaching standards using literature review, survey, classroom observation and teacher interviews. Based on the teachers’opinion, we also investigated who should develop teaching standards and who will benefit most from the standards. In sum, the standards for teaching evaluation should help to form (a) the guidelines for beginners, (b) the directives for specialists, (c) the principles for grasping areas for improvements, and (d) the means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communities. In addition, teachers should take responsibility for developing teaching standards as the basis for evaluating their own work and improving their own professional learning to provide quality assurance. The development of subject specific teaching standards is not possible without active participation of teachers as well as other stakeholders in education.

저자
  • 최승언(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 최승언
  • 곽영순(한국교육과정평가원) | Kwak, Youngs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