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국 주요 행정구역별 PM10 성분의 시·공간적 농도분포의 특성조사 KCI 등재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Patterns of PM10 in Major Cities and Provinces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4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산재한 총 152개 지점의 측정망으로부터, 6년 동안 월 단위로 요약 정리한 PM10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대한민국 주요 행정구역(7개시와 9개 도)에 대한 PM10 성분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진단하였다. 16개 행정구역에 대한 PM10의 농도분포를 조사한 결과, PM10의 농도는 황사의 영향이 두드러지는 봄철에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그리고 강수의 양이 많은 여름철에 농도가 줄어드는 결과를 보이는데, 이는 배출원의 강도와 습식침적이 왕성하게 나타나는 기상환경 등의 영향을 반영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지역적으로 PM10의 농도를 비교하면, 서울에서 68.2μg/m3로 최고 농도를 보인데 반면, 제주도가 39.2μg/m3로 최저 농도를 나타내었다. 전체 지역별로 보면, PM10의 농도는 대도시 지역으로 갈수록,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관분석을 통하여 지역간 PM10 농도 분포의 공간적 상관성을 비교한 결과, 이를 통해 PM10 농도는 근접한 거리에서는 서로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PM10 농도는 기상조건과 인위적인 배출원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고 할 수가 있다.

The distribution of PM10 was investigated using its measurement data collected from a total of 152 AQM stations located across South Korea from 1998 to 2003. It was found that PM10 concentration reaches its peak in the springtime due to massive wind-blown dusts during the Asian Dust (AD) period. Then the concentration level decreases in the summertime, after the rain shower season. When the PM10 data sets were compared across different cities, their patterns contrasted sharply. The highest PM10 concentration was measured in Seoul (68.2μg/m3), while the lowest PM10 concentration was measured in Jeju (39.2μg/m3). The results of our analysis indicate that PM10 concentrations exhibit a strong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the size of the city. With respect to the correlation analysis of our results, it was evident that PM10 concentrations of nearby cities were found to affect each other.

저자
  • 김성천(군산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김성천
  • 김기현(세종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김기현
  • 안지원(세종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Ahn, Ji-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