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등학교 과학 실험 수업에 대한 실험 목적.상호 작용.탐구 과정의 분석 KCI 등재

Analyses of the Aims of Laboratory Activity, Interaction, and Inquiry Process within Laboratory Instruction in Secondary School Scie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55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 학교 과학 실험 수업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수업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 과학 실험 수업을 세 범주로 분석하도록 개발된 분석 도구를 활용하였다. 이 분석 도구는 실험의 목적, 상호 작용, 탐구 과정 세 가지 영역에 20가지 평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4명의 과학 교육 전문가로부터 0.89의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수업 분석을 위하여 21차시의 실험 수업이 녹화되고 전사되었다. 전사된 프로토콜과 동영상을 바탕으로 실험 수업을 분석한 결과, 중등 학교 실험 수업은 실험 목적 측면에서 선언적 지식의 습득과 과학에 대한 태도의 향상에 집중되어 있었다. 상호 작용 측면은 교사의 발문이 학생들의 발산적 사고를 유도하지 못하고 있고 학생들에 의한 주도적인 실험 기회가 주어지는 대신 교사의 직접적 지도에 의해 실험 수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학생들의 토의 과정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등 상호 작용 I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탐구 과정은 학습 주제에 대한 현상 제시 및 문제 제기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학생들의 가설 설정 활동이나 예상 활동도 대부분의 수업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실험 설계 부분은 활동지나 교사의 지시에 의해 주어지고 있었고, 학생들은 실험 결과 기록에만 집중되어 있어 탐구 과정 수준도 I 수준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laboratory instructions in a secondary school science with an analysis instrument on science laboratory instruction. For its purpose, we used an instrument that analyzes three dimensions of the secondary laboratory instructions. This analysis instrument was composed of 3 categories (the aim of the laboratory activity, interaction, and inquiry process) which are spread into 20 sub-categories, and its validity was checked by four science educators with factor of 0.89. For its purpose, 21 sessions of lab instructions were video-recorded and transcribed. According to the results, in the aims category, the instructions mainly focused on two aims; acquiring the declarative knowledge and increasing attitudes toward science. In the interaction category, some of the observations made were that the teachers's questions could not gather the students' divergent thinking, their directive instructions were centered around themselves rather than giving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be centered within laboratory activities, and students' interaction were rarely shown. Therefore, interaction was classified as level I. In the inquiry process, presenting phenomenon or questionings about the subjects were little observed, and students' hypothesizing and predicting were almost nonexistent. Most of the activity designs within lab session were given from the teachers' directions or worksheets, and students solely focused on data collecting and recording. Hence, inquiry process were classified level I.

저자
  • 양일호(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 | Yang, Il-Ho
  • 정진우(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정진우
  • 김영신(경북대학교 생물교육과) | 김영신
  • 김민경(강릉 동명중학교) | 김민경
  • 조현준(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조현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