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호안 건설 후 광양만 조간대 퇴적물의 퇴적학적 특성 KCI 등재

Sedimentologic Characteristics of Tidal Flat Sediments after the Construction of Sea Dyke in Kwangyang Bay, South Coast of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56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광양만에서 호안 건설 후 조간대 퇴적물의 분포 및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표층 퇴적물의 조직 특성과 퇴적률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퇴적물의 평균 입도는 가을에 조립하고 겨울, 봄, 여름으로 갈수록 세립해지며, 여름에는 초기에 일시적으로 조립한 후 세립해지는 계절적 변화를 보였다. 퇴적률은 봄에 퇴적되고 여름과 가을에 주로 침식되어 호안이 건설퇴기 이전인 2001-2003년 동안 관측한 결과와 매우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연평균 퇴적률은 북측 조간대에서는 2001-2003년 동안 관측한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주변에 호안이 건설된 서측 조간대는 퇴적 환경에서 침식 환경으로 변화된 양상을 보였다. 이와 같은 퇴적 환경의 변화는 아마도 호안 건설에 따른 수류의 변형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In Kwangyang Bay, the south coast of Korea, surface sediments and sedimentation rates have been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and variation of tidal flat sediments after the construction of sea dyke. The mean grain size of the surface sediments during autumn is coarser, and decrease from winter to summer except for temporarily coarsening in the early summer. The depositional processes are prevalent in spring, while erosional processes are dominant in summer and autumn. This seasonal variation of sedimentary processes show similar results monitored from 2001 to 2003 before the construction of sea dyke. In the northern area of the bay, net annual sedimentation rates show similar results monitored from 2001 to 2003 before the construction of sea dyke. However, in the western area of the bay, net annual sedimentation rates change from erosion-dominated to deposition-dominated environments. It is considered that the western area of the bay is changed to erosion-dominated environments, as a result of the changes of hydrodynamic conditions, caused by sea dyke construction.

저자
  • 류상옥(목포대학교 갯벌연구소) | Ryu, Sang-Ock
  • 신용식(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부) | 신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