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해 SeaWiFS 클로로필-α 농도의 스펙클 오차 특성 KCI 등재

Characteristics of Speckle Errors of SeaWiFS Chlorophyll-α Concentration in the East S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73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1997년 9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동해의 SeaWiFS 자료를 이용하여 SeaWiFS 클로로필-α 농도가 가지는 스펙클 오차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 원인을 조사하였다. 비정상적으로 큰 농도를 가진 스펙클들은 산발적으로 분포하였으며, 주변 화소들과 비교하였을 때 10mg/m3 이상의 현저하게 큰 편차를 보였다. 이 스펙클들은 겨울철에 자주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는 구름 분포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10년 평균된 겨울철 운량은 동해 북서쪽보다 스펙클이 자주 출현하는 남동쪽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통계적 분석 결과는 운량이 증가할수록 스펙클의 수가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스펙클 화소의 정규화 된 수출광량은 단파장 영역(443, 490, 510nm)에서 상당히 낮았으나 555nm 파장대는 정상적이었다. 이러한 낮은 관측치들은 클로로필-α 산출 식에서 비정상적으로 큰 농도를 생산하였다. 본 연구는 동해의 SeaWiFS 클로로필-α 농도자료가 지니는 스펙클 오차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였으며, 적절한 해색 원격탐사 기술을 활용한 좀 더 신뢰도 있는 클로로필-α 자료를 해양 응용 연구에 사용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Characteristics of speckle errors of Sea-viewing Wide Field-of-view Sensor (SeaWiFS) chlorophyll-α concentration were analyzed, and its causes were investigated by using SeaWiFS data in the East Sea from September 1997 to December 2007. The speckles with anomalously high concentrations were randomly distributed and showed remarkably high bias of greater than 10mg/m3, compared with their neighboring pixels. The speckles tended to appear frequently in winter, which might be related to cloud distribution. Ten-year averaged cloudiness of winter was much higher over the southeastern part, with frequent speckles, than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East Sea.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the speckles was increased as cloudiness increased. Normalized water-leaving radiance of the speckle pixel was considerably low at the short wavelengths (443, 490, and 510 nm), whereas the radiance at 555 nm band was normal. These low measurements produced extraordinarily high concentration from the chlorophyll-α estimation formula. This study presented the speckle errors of SeaWiFS chlorophyll-α concentration in the East Sea and suggested that more reliable chlorophyll-α data based on appropriate ocean color remote sensing techniques should be used for the oceanic application researches.

저자
  • 채화정(서울대학교 과학교육과) | Chae, Hwa-Jeong
  • 박경애(서울대학교 과학교육과) | 박경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