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퇴적물의 입도에 대한 한국어 용어의 검토 KCI 등재

Review on the Korean Terms of Sediment Grain Size Demonstrated in the Textbook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9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30종의 초 중 고 및 대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퇴적물의 입도에 대한 한국어 용어를 비교 검토하고 문제점과 대안을 제시하였다. 교과서에 나타난 퇴적물의 입도에 대한 한국어 용어는 거의 모두 Udden-Wentworth의 분류를 번역한 것으로, 교과서마다 다른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자갈은 여러 교재에서 왕모래, 잔자갈, 왕자갈, 및 표력 또는 거력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이들은 각각 잔자갈(granule), 중자갈(pebble), 큰자갈(cobble), 및 왕자갈(boulder)로 나타내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생각한다. 자갈보다 작은 퇴적물은 '매우 고운', '고운', '중간', '굵은', 및 '매우 굵은'이라는 형용사를 각 퇴적물 이름 앞에 붙여서 표현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silt는 여러 교재에서 미사로 나타내고 있으나 실트로 표현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판단된다. 실트와 점토의 혼합물인 mud는 대부분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그리고 일부 고등학교와 대학교 교과서에서 진흙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한국지구과학 사전 등을 포함한 여러 교과서에서 쓰고 있는 바와 같이 이토(泥土)로 나타내는 것이 적당하다고 생각한다.

The Korean terms of sediment grain size demonstrated in the 30 textbook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university levels are compared and reviewed, and the problems of its use and alternative terms are proposed. The Korean terms of sediment grain size shown in the most textbooks are the translated terms of the Udden-Wentworth grade scale, and the different terms have been used in these textbooks. In the case of gravels, granule, cobble, and boulder have commonly been translated as wangmorae (king sand), janjagal (fine gravel), wangjagal (king gravel), and pyoryeog (drift gravel) or georyeog (large gravel), respectively. However, it is regarded to be reasonable that they are termed as janjagal, jungjagal (medium gravel), keunjagal (large gravel), and wangjagal, respectively. Adjectives such as 'maeu goun' (very fine), 'goun' (fine), 'junggan' (medium), 'gulgeun' (coarse), and 'maeu gulgeun' (very coarse), attached with each sediment name seem to be suitable to terms for sediments smaller than gravels. Silt has been commonly termed as misa (fine sand) in many textbooks, but it may be appropriate that silt is expressed as silt. Finally, mud, which is a mixture of silt and clay, should be named ito (mud) as shown in several textbooks including Dictionary of Korean Earth Science, though mud has been frequently termed as jinheug (slush or watery soil) in the most of textbook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some high school and university textbooks.

저자
  • 김정률(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Kim, Jeong-Y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