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관행 고추밭과 유기농 고추밭에서 절지동물의 군집 구조와 생물다양성의 비교 KCI 등재

Comparison of Community Structure and Biodiversity of Arthropos between Coventional and Organic Red Pepper Fiel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79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유기농업학회지 (Korea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한국유기농업학회 (Korea Association Of Organic Agriculture)
초록

본 연구는 관행포장과 유기포장에서 절지동물의 군집 구조와 생물다양성을 비교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기간 중 채집된 절지동물은 관행포장에서 6,901개체였으며 유기포장에서는 21,871개체로 총 28,718개체였으며 10목 24과 36종으로 동정되었으며 농법별 절지동물 군집을 구성하는 종수는 관행농과 유기농 모두 32종으로 같았고 관행포장에서는 파리목, 유기농에서는 벌목과 톡토기목의 종지수가 높았다. 대만총채벌레(F. intonsa)는 농법에 관계없이 발생밀도가 현저히 높았고 관행포장에서 우점종은 담배나방(H. assulta)이었고 유기포장에서는 줄무늬빗톡토기(H. mediaseta), 파리류 4(Diptera sp. 4) 및 별늑대거미(P. astrigera)였다. 절지동물 군집의 생물다양성은 지표면에서 종다양성이 관행포장에서 유기포장보다 높았으며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농법간 절지동물의 군집의 유사성은 지표면 및 지상부 식물체에서 활동하는 절지동물 군집은 대체로 농법에 의해 구분되었으며 그 유사도는 각각 34.07%와 26.95%로 비교적 낮아 농법간 이질성이 있었다. 생태학적 기능군의 종지수는 지상부 식물체에서 일반군, 해충군 및 천적군 중 기생포식자군에서 통계학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해충군과 기생포식자군 모두 유기포장에서 높았다. 발생밀도는 지표면에서 천적군 중 포식자군이 유기포장에서 관행포장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았고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종다양성은 지상부 식물체에서 일반군과 천적군 중 기생포식자군에서 통계학적인 차이가 있었다. 개별 생태학적 기능군의 농법별 상대적 발생밀도 변동에서 관행포장에서는 해충군의 점유도가 높았고 유기농에서는 분해자군의 점유도가 현저히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유기농업에서 효율적인 해충관리방안을 구축하는데 있어 유용한 절지동물 군집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ommunity structure and biodiversity of arthropods between conventional and organic red pepper fields. A total of 36 species of 24 families belonging to 10 orders from collected 28,718 arthropods; 6,901 individuals from conventional field and 21,871 individuals from organic field. A number of species comprising arthropod community was same in both fields as 32 species. Species richness of Diptera was the highest in conventional field and that of Hymenoptera and Colembolla was the highest in organic field. Abundance of Frankliniella intonsa was the highest regardless of farming method. Helicoverpa assulta was dominant in conventional field, and Homidia mediaseta, Diptera sp. 4 and Pardosa astrigera were dominant in organic field. Diversity of community on the ground was higher in organic field and statistically different. Similarity of arthropod community showed difference with 34.07% on the ground and 26.95% in the plant above ground. In the ecologically functional guild: species richness of general, pest and parasitoid of natural enemy groups in the plant above ground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and pest and parasitoid groups were higher in organic field, abundance of predator group of natural enemy on the ground was 2 times higher in organic field and statistically different and diversity of general and parasitoid groups in the plant above ground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In the relative occupancy rate, pest group was the highest in conventional field and decomposer group was the highest in organic field.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is consider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f arthropod community for developing efficient insect pest management in organic farming.

저자
  • 이수연(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Lee, Sue-Yeon
  • 김승태(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Kim, Seung-Tae
  • 임재성(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명공학부) | Im, Jae-Seong
  • 정종국(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명공학부) | Jung, Jong-Kook
  • 이준호(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명공학부) | Lee, Joon-H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