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방한 아시아여성 관광객의 문화관광기념품 구매 결과를 이용한 디자인선호도 연구 KCI 등재

A Research on the design preference based on the survey of purchasing cultural sightseeing souvenirs by female Asian foreign touris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31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우리나라의 외국인 관광시장이 빠른 성장을 하는 가운데 ‘방한 아시아여성 관광객’의 비중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문화관광기념품’의 기획 및 제작에 이를 반영 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환경 변화 속에서 문화 관광기념품의 질적 발전을 위해 방한 아시아여성 관광객의 디자인 선호도를 조사하여 앞으로의 문화관광기념품 기획 및 제작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하나의 지표를 만드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방한 아시아여성 관광객의 ‘한국 상징 디자인’ 선호도는 평균 24%(동남아 28%, 중국 26%, 일본 17%)로 ‘기타지역 여성 평균’ 41%보다 낮게 나타났다. 2. ‘한국화 기법 디자인’ 선호도 또한 평균 32%(일본 40%, 중국 30%, 동남아 28%)로 ‘기타지역 여성 평균’ 62%보다 낮게 나타났다. 3. ‘한국 상징 디자인 별’ 선호도는 ‘남산’ 36%, ‘숭례문’ 20%, ‘한글’ 17%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에 나타난 디자인 별 선호도로 볼 때 방한 아시아여성 관광객의 취향에 적합한 디자인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지표 결과, 방한 관광객의 기존 상품에 대한 구체적 자료를 토대로 한 세부적 선호도 분석 자료는 앞으로 문화 관광기념품의 기획과 제작에서 보다 구매가치가 높고 매력적인 상품기획에 유용한 지표로서 의미를 지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As the tourists market for foreigners in Korea has been growing rapidly, there has been a sharp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Asian female tourists visiting Korea.’This phenomenon, however, does not apply to the planning and producing of ‘cultural sightseeing souvenirs’ so far. This study aimed to make a indicator as basic data to be utilized in planning and producing cultural sightseeing souvenirs through the research about the design preference of foreigner tourists visiting Korea for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cultural sightseeing souvenirs in such sightseeing environment changes.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preference to ‘Symbolizing Korea design’ of Asian female tourists visiting Korea shows the average of 24% (28%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26% in China, 17% in Japan respectively), lower than the average of female tourists’ from other regions, 41%. 2. The other preference indicator to ‘Korean painting design’ also appears lower average point, 32% (40% in Japan, 30% in China and 28%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than 62% in ‘other region female tourists.’ 3. The preferences by each of ‘Symbolizing Korea design’ turns up in order of ‘Namsan’ 35%, ‘Sungnyemun’ 20%, ‘Hanguel’ 17%, etc. The regional preference in design which this survey results are showing places the importance on the necessity of the specific design relevant to the taste of Asian female tourists visiting Korea. The detailed preference analysis data based on foreigner tourists' specific preference for existing products is expected to be meaningful as very useful data for planning higher purchase values and more attractive goods at the stages of planning and producing cultural sightseeing souvenirs in future.

목차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방법 및 범위

2. 이론적 배경
  2.1. 여성 관광객의 특성 고찰
  2.2. 방한 아시아 여성 관광객 통계
  2.3. 연구대상 상품 디자인별 분류
     2.3.1. 연구대상 제품의 구성
     2.3.2. 디자인별 분류

3.조사결과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김은평(서울과학기술대학교 NID 융합기술대학원 박사수료) | Kim, Eun pyoung
  • 이명아(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자문화학과 교수) | Lee, Myung 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