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엘리엇의 시에 나타난 종교적 경험의 문제: 심리학적 관점 KCI 등재

Religious Experience in T. S. Eliot’s Poetry: A Psychological View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770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T.S.엘리엇연구 (Journal of the T. S. Eliot Society of Korea)
한국T.S.엘리엇학회 (The T. S. Eliot Society Of Korea)
초록

이글은 개종 후 종교적 색채가 짙어진 엘리엇의 후기시에 나타난 종교적 경험의 문제를 다루려는 시도이다. 종교적 경험은 특정 종교의 도그마나 교리가 규정하는 대로가 아닌 인간이 압도적 권위나 힘을 가진 초월적 존재에 대한 관계에서 느끼는 정서적 경험으로 이 글에서는 오토와 제임스의 설명을 기초로 삼았다. 이 경험에서 인간은 대상인 절대자 앞에 나약한 피조물로 스스로를 인식하며 세계관과 태도에 있어 커다란 변화를 겪는다. 융은 이 경험을 심리적 공식으로 이해하여 인간의 의식이 그 근원인 무의식의 중심, 즉 ‘자기’에 노출되면 절대자 앞에선 ‘피조물 느낌’을 갖는다고 설명한다. 엘리엇에게 이 같은 종교적 경험이 실재했는가 하는 문제는 정확하게 답할 수 없는 문제이다. 하지만 그는 이 경험을 당연한 것으로 인정하고 있다. 또한 심리적 관점에서 보자면 그의 종교시에 자주 등장하는 여성도 시인의 종교적 경험의 개연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그의 시는 기독교의 가르침을 무조건 수용하기보다는 스스로의 경험을 그리고 있다는 인상을 자주 불러일으킨다. 특히 「동방박사의 여행」과 󰡔재의 수요일󰡕에서 이 같은 특징이 두드러지며 동시에 그의 시는 산문과 달리 종교적 가르침에 대해 회의하는 모습이 자주 드러내기도 한다.

At the earlier part of the twentieth century some thinkers began to view religions in terms of perceptive or cognitive experience. They wanted to address religion independently from conventional approaches to dogmas, liturgies, or rituals as given by religious teachings or institutions. William James and Rudolf Otto, among others, attempted to characterize religious experiences by their unique qualities including its non-rationality, profound consequent influence on the subject, and ineffability, etc. In line with these new understandings on religion, C. G. Jung also tried to explain religious experiences as psychological phenomena, attempting to show how they are different from Christian explanations. He opined that a religious experience in itself is not exposure to the all positive grace or blessing from God but a frightening encounter with an irresistibly powerful force neither benign nor hostile toward the subject. Some writings by T. S Eliot seem to reflect his own experience of this sort. He once mentioned that this kind of experience helps writers compose writings of high quality without much striving from the part of a writer. Eliot, however, does not put high value on such writings written while highly exalted, whether religiously or for another reason. He thinks they should be refined in order to be literally better-merited. This position adds to the complexity of Eliot’s religious writings. His reader needs to see through Eliot’s writings to get a glimpse at what religious implications lie behind what they are physically provided with. Focus of this discussion has been given on the poems composed right after Eliot’s conversion to the English Church, but not without occasional references to those composed at different time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종교에 대한 경험론적 접근
 3. 엘리엇의 종교적 경험과 후기 시
 4. 나가며
 Works Cited
 국문초록
저자
  • 조병화(거제대학교) | JOH Byung-Hw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