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근대 삼척의 해상 이동 고찰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8074
  • DOIhttps://doi.org/10.16897/isabu.2015.10.0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900원
이사부와 동해 (The Review of Isabu and East Sea)
한국이사부학회 (The korean isabu society)
초록

강원도 삼척은 해양과 육지가 만나는 해안가 지역이다. 해양은 육지와 함께 삼척 역사를 형성해온 어엿한 활동 공간이었다. 이 논문에서는 근대시기 삼척에서의 해상 이동 상황을 살펴봄으로써 지역 정체성 형성에 어떤 의의가 있는지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근대시기 삼척지역은 2등도로를 중심으로 도로가 수선 정비되었으나 험로여서 자동차 수송이 원활치 않았다. 철도는 1940년대 들어 광물수송 간선 구축 방침에 따라 부설된 탓에 생활 교통과는 거리가 멀어 상대적으로 해상 교통과 해양 이용이 삼척지역에 요긴하였다. 근대시기 신문에 실린 해상 이동 관련 신문기사와 구술자료, 자전적인 글 등을 자료로 삼아 해상을 통한 삼척지역의 인적 교류와 물류 이동 양상을 나누어 살펴 보았다. 해양 활동 공간과 그에 연계된 항포구가 근대 삼척의 정체성 형성에 아래 와 같은 특징이 있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근대 시기 삼척에 있어서 해양은 일회적 단순한 교류를 넘어 연속적으로 동해안의 연안 도시 및 일본, 중국, 러시아 등과 긴밀하게 접촉이 이루어진 활동 공간이었다. 부산~원산 해로 기항지로서 인적 및 물류는 분명한 목적 아래 이동 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둘째, ‘신흥 삼척’ ‘물화의 집산지 삼척’ ‘공도 삼척’으로 요약되는 일제 말기 삼척의 이미지가 형성된 데는 활발한 해상 이동과 군수물자 집결처로서 정라항1)을 중심으로 한 여러 항포구 기능에서 파급되는 영향이 컸다. 셋째, 근대 시기 삼척의 항포구와 해양은 지역민 생업과 관련된 중요한 터전이었으며, 무동력선 운영과 원근해 어업, 해조류 채취 경험을 축적하였다. 넷째, 삼척의 해상 국방 요충지적 성격은 1937년 중일전쟁 발발로 항을 통한 군수물자 반출, 식량 공급 등 강화되었으며 이 같은 군사적 성격은 해방 직후에도 그대로 이어져 미군정청 국방국은 동해안 최북방 해군기지로 삼척을 설정하였다. 다섯째, 항포구 어촌이 확장해가는 과정에서 삼척포진성 유적 파괴와 오십천 수로 변경, 집단 이주로 인한 거주 불안, 헐값의 토지판매, 외지인과 노동자 유입으 로 인한 사건사고, 공장 안전사고, 축항설비 미비 해상 사고 등의 문제를 표출하였다. 여섯째, 삼척의 각 항포구는 육로교통이 제대로 연계되지 않아 물산의 집산지는 되었으나 배급처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여 거점도시로 확대되지 못하였다. 도시 형성에 필요한 각종 기반시설을 지역민에게 전가시킨 일제의 식민 통치 결과 삼척읍내~정라항간 도로조차 완비되지 못할 정도로 한계를 노정하였다. 삼척을 해항도시로 규정하지 않더라도 해양은 근대 삼척의 역사 경제 교통 항구 군사 등에 영향을 끼쳤으며, 정라항은 시대성을 대변하는 역사적 현장으로 이해되고 보존되어야 한다.

Samcheok, Gangwon-do is coast area where sea and land meet. Sea together with land was honorable space which has formed history of Samcheok.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maritime movement status of modern Samcheok in order to find out meaning of regional identity formation. Through newspaper articles, oral data, and autobiographical writing related to maritime movement carried on modern newspapers,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both personal exchanges and flow of goods in Samcheok area through sea. Maritime activity space and harbor linked thereto have following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formation of modern Samcheock identity and the summary is shown as follows.
First, as for Samcheock in modern times, sea was activities space of close and continuous contacts with east coastal cities, Japan, China and Russia beyond simple single exchange. As a port of call between Busan ~ Wonsan, personal and logistic flow shows change of movement under the definite objective.
Second, the image formed during the end of Japanese Colonialism period and summarized as ‘Emergent Samcheok’ ‘Goods Distributing Center Samcheok’, and ‘Industrial City Samcheok’ was much due to the active sea movement and the function of harbor or port with Jeongrahang as center of military supplies.
Third, harbor or port and sea of Samcheok in modern times were important base related to living of local people and they accumulated experience of operating non-powered vessel, deep-sea and offshore fisheries, and collecting sea algae
Fourth, feature of Samcheok as sea important spot for national defense was strengthened by carrying out of military supplies and food supply due to break-out of Sino-Japanese War in 1937 and such military feature continued just after the liberation so that the Defense Division of 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established Samcheok as the northernmost naval base on the east coast.
Fifth, in the expansion process of harbor fishing village, many problems appeared such as relics destruction of Samcheok Pojinseong, Osipcheon channel diversions, unstable residence due to mass migration, cheap sale of land, accidents or incidents arising from inflow of strangers and labor, factory safety accidents, marine accident due to improper port facilities.
Sixth, because land traffic was not properly connected, respective ports and harbors of Samcheok acted as a collection center of goods but it did not play as a distributing center and therefore, it could not become a hub city. Owing to Japanese colonial administration which transferred construction of all the infra necessary for city formation to local people, such limitation happened as road between Samcheok-eup and Jeongrahang was not completed.
Even though Samcheok is not defined as a seaport town, sea has influence on history, economy, traffic, harbor and military affairs of modern Samcheok, and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and preserve Jeongrahang as a historical site representing trend of times.

목차
Ⅰ. 머리말
 Ⅱ. 근대 삼척의 육로와 항포구 변화
  1. 근대 삼척의 육로
  2. 근대 삼척의 항포구
 Ⅲ. 해상 인적 교류와 물류 이동
  1.인적 교류 현상
  2. 해상 물류 이동
 Ⅳ. 맺음말
 ❚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미현(강원도민일보) | Park Mi H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