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콩 GAP 모델 확립을 위한 재배환경의 위해요소 조사 및 분석 KCI 등재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Hazards for Cultivation Environment to Establish the Good Agricultural Practices(GAP) of Soybe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943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콩 GAP 모델 확립을 위해 경남 창녕에 소재한 콩 재배농가 3 곳을 선정하여 각 재배환경에 대한 물리 적, 화학적(중금속) 및 생물학적(위생지표세균, 병원성 미생물) 위해요소를 분석하였다. 재배환경에 대한 물리적 위해요소로는 토양과 농업용수에 혼입될 수 있는 이물 등으로 확인되었고, 화학적 위해요소 중 토 양과 농업용수에서의 중금속 (Cd:0.01~0.103, Cu:0.001~6.036, As:0.006~3.045, Hg:ND~0.041, Pb:0.003~3.952, Cr+6:0.007~0.496, Zn:0.001~66.500, Ni:0.003~18.010)이 모두 허용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었다. 생물학적 위해요소의 경우, 위생지표세균은 토양에서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이 6.0±0.3 및 3.6±1.6 log CFU/g, 농업용수는 3.5±0.7 및 1.9±0.7 log CFU/mL 수준으로 각각 검출되었고, E. coli 는 모든 시료에서 불검출 되었다. 그러나 농업용수에서 대장균군이 허용기준치를 초과하였고, E. coli O157도 토양 중에서 약 22%가 검출됨에 따라 분변오염 방지를 위한 적절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 된다. 결론적으로 재배환경 중 물리적 및 화학적 위해요소 (중금속)의 오염수준은 허용기준에 적합했지만, 생 물학적 위해요소의 경우 농업용수에서 대장균군이 기준치를 초과함에 따라 최종산물로의 교차오염을 방지 하기 위한 체계적인 관리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Soybean farms in Changnyeong were selected for hazard analysis to establish the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model of soybean, and physical, chemical(heavy metal) and biological(sanitary indications, foodborne pathogens) hazard analysis for cultivation environment (soil, water) was carried out. First, bow which is able to be mixed in soil and water was confirmed as physical hazard. Levels (Cd:0.01~0.103, Cu:0.001~6.036, As:0.006~3.045, Hg:ND~0.041, Pb:0.003~3.952, Cr +6 :0.007~0.496, Zn:0.001~66.500, Ni:0.003~18.010) of heavy metals in soil and water were appropriate for GAP criteria. In biological hazard, APC and coliform in soil were detected at the levels of 6.0±0.3 and 3.6±1.6 log CFU/g, and levels of water were 3.5±0.7 and 1.9±0.7 log CFU/mL, while E. coli wasn’t detected in all sample. However, coliform in water wasn’t appropriate for criteria, and E. coli O157 was detected about 22% in some farms, so it needs ways to prevent contamination by human and animals excrements. In conclusion, it needs proper management to prevent cross-contamination of hazards although physical and chemical hazard level were appropriate for GAP criteria while biological hazard wasn’t.

저자
  • 김경열(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 21 program)) | Kyeong-Yeol Kim
  • 송정언(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 21 program)) | Jeong-Eon Song
  • 허록원(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 21 program)) | Rok-Won Heo
  • 이원경(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 21 program)) | Won-Gyeong Lee
  • 남민지(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 21 program)) | Min-Ji Nam
  • 김정숙(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eong-Sook Kim
  • 심원보(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Won-Bo Shim
  • 길중권(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 21 program)) | Jung-Gwon Gil
  • 정찬식(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Chan-Sik Jung
  • 박금룡(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Keum-Yong Park
  • 정덕화(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 21 program),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Duck-Hwa Chu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