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漢詩에 投影된 知識人의 靑鶴洞 認識 硏究 KCI 등재

A Study on Intelligent People's Recognition of Cheonghakdong Reflected on Poem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한시에 투영된 지식인의 청학동 인식 연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31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청학동은 우리 漢詩史에서 ‘이상향에 대한 동경’이라는 시적 제재로 사용되어 진 주요한 모티브 중 하나였다. 그리하여 많은 시인묵객들이 이상향에 대한 동 경의 실천태로써 이른 시기부터 청학동을 찾았다. 초기 청학동을 찾는 이들에 게 ‘청학동’은 선계 공간이라는 이상향이었다. 현실 세계에 존재할 수 없는 선계 로의 탐방은 부정과 좌절이라는 정서로 시화되어 나타난 것이 주를 이루었다. 청학동이라는 선계로의 유람은 현실이라는 벽에 가로막혀 갈등과 회한이 어 우러져 있다. 다만 일반적인 산수시와 달리 청학동 소재 한시에 나타난 청학동 이라는 공간은 수기의 방편으로 사용된 예가 드물다는 것이다. 이러한 부류의 작품에 드러난 청학동은 현실 밖, 피세의 관념적 공간이자, 현실 속에서 부정할 수밖에 없는 공간이었다. 열망과 부정의 모순된 정서가 시화되어 나타난 것이다. 이상향에 대한 동경이라는 인간의 욕망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 지리산의 특정 지역을 청학동에 비정하였고, 관념 속의 청학동은 현실적인 명승공간으로써의 지위를 획득하게 되었다. 이후 청학동은 선계 공간으로서의 지위와 명승 공간 으로서의 지위를 모두 지니게 되었다. 지식인의 한시 작품에 나타난 명승으로써의 청학동은 현실의 불행이 완전하 게 단절된 공간, 갈등과 번민이 없고 조화롭고 평화로운 공간으로 인식되는 경 우와 현실 밖, 피세의 관념적 공간이자, 현실 속에서 부정할 수밖에 없는 공간 으로 인식되는 두 가지 경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모든 공간들은 열정과 한계 로 인하여 여러 양상으로 나타났지만, 과거 지식인이 추구하였던 이상향이었다. 시인이 청학동을 선계공간으로 인식하였든, 명승공간으로 인식하였든 공통적 으로 나타나는 요소는 현실 세계에 대한 철학적 부정을 통한 이상향에 대한 동 경이었다. 또한 이러한 시적 전통은 ‘청학동’이라는 특정 공간이 우리 민족의 이 상세계에 대한 구체화 작업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Mt. Jiri has been together with our nation's history during its rise and decline. Mt. Jiri is a big bowl that is containing all the culture our nation has enjoyed and created. It contains purification of three religions such a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shape of the basic culture. That is, it was the site of life for our nation and the great prop of our mental world. Therefore, a lot of intelligent people visited Mt. Jiri and some of them settled down there. As of today, about 20 million people visit Mt. Jiri per year in order to reflect themselves and enjoys the beauty of mountains and streams of the land. So many intelligent people visited Mt. Jiri in the past. Some of them climbed the mountain in person while some of them visited on the basis of knowledge of humanities. They mostly visited Cheonwangbong, the highest summit of the Mt. Jiri, and Cheonghakdong. Climbing Cheonwangbong was climbing Mt. Jiri, while visiting Cheonghakdong was a longing for paradise. Intelligent people's recognition for Cheonghakdong presented in old poem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s largely divided into Cheonghakdong as a boundary space with the heaven and Cheonghakdong as a famous site. Cheonghakdong as a boundary space is a world of Taoist hermits that don't exist anymore although it existed in the past. In the world, Taoist hermits enjoys peaceful and harmonious life while enjoying divined drink and snack, flying in the sky and enjoying eternal youth. It is an imaginary world as if it exists somewhere in Mt. Jiri even now. Cheonghakdong as a famous site was created during an attempt to compare Cheonghakdong that was the boundary space with the realistic world. The space that was made in liberal imagination presented two trends according to attitudes of accepters; that is, a harmonious and peaceful space with no conflicts and agonies because it was completed isolated with the reality; and a space that shall be denied in reality as a conceptual space outside the reality.

목차
1. 緖論
2. 仙界 空間으로써의 靑鶴洞
3. 名勝 空間으로써의 靑鶴洞
4. 結論
저자
  • 김진욱(순천대학교 지리산권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 Kim Jinw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