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溪南 崔琡民의 삶과 學問傾向 KCI 등재

The life and Academic Inclination of Choi Sukmin using a pen name of Gyenam

계남 최숙민의 삶과 학문경향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31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이 논문은 溪南 崔琡民(1837∼1905)의 삶과 학문경향에 대해 조명한 것이 다. 계남이 활동했던 19세기는 성리학적 통치이념과 가치관이 근원적으로 위협 받고 있었다. 이러한 내우외환의 시대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19세기 사상계는 영·호남 할 것 없이 ‘主理’의 학문체계를 통해 이 난국을 타개하고자 하였다. 孔 孟程朱로 내려오는 정통 성리학을 유일한 正學으로 보고 陽明學을 비롯한 西學 등 모든 다른 사상을 이단으로 규정하여 우리 고유의 미풍양속을 지키고 외세 의 침략에 대항하고자 하였다. 계남 최숙민은 선대로부터 내려오는 학문과 절조의 家學的 전통을 이어받아 한평생 학자적 삶을 추구하였다. 젊은 시절 형인 橘下 崔植民(1831~1891)의 보살핌에 의한 獨學, 그리고 중년에 蘆沙 奇正鎭(1798∼1879)의 학문적 기반 을 토대로 하여 만년에 華西學脈 학자들과의 교유를 통해 자신의 학문세계를 열어나갔다. 그것은 다름 아닌 19세기 시대현실에서 노사의 ‘주리’의 학문종지 를 터득하여 후학들에게 열어주는 것을 자신의 일대 사업으로 여겼던 것이다. 그런 가운데 계남은 아버지의 가르침에 힘입어 黨議에 사로잡힌 당시 사상계 에서 학문적 울타리를 트고, 오직 진리를 찾으려는 求道의 일념과 개방적 학문 자세를 견지하였다. 그래서 지역과 당색을 초월하여 많은 학자들과 학문적 담 론을 통해 이론성리학을 지양하고 心學을 위주로 하는 실천성리학을 추구하였 다. 이는 평소 그가 주장한 현실의 삶 속에서 人事인 下學의 실천을 중시하는 학문경향에 기인한 결과이다. 하학의 실천을 중시하는 학문경향은 스승인 노사 기정진의 영향에 힘입는 바 이지만, 아울러 이 지역의 학풍을 주도했던 南冥 曺植(1501∼1572)이 강조했 던 학문관점이기도 하였다. 남명의 학문정신이 19세기에 되살아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실천을 중시하는 下學重視의 학문경향은 바로 계남 학문경향의 주요한 관점이었다.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the life and academic leanings of Choi Sukmin using the pen name of Gyenam. The ruling ideology and values of Neo-Confucianism were radically undermined in the nineteenth century when Gyenam developed his academic activities. So all the academic groups of both Yeongnam and Honam region in the academic world of the nineteenth century attempted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of the times through the academic systems of the 'julie theory'(rationalism). Gyenam pursued scholastic life all his life, upholding the tradition of his family by valuing literature and integrity. He studied himself with the help of his elder brother, Choe Sikmin using the pen name of Gyulha in his early days, founded the academic basis through Gi Geonjin using a pen name of Nosa(1798-1897) in his middle age. He expanded his learning through good company with scholars and went over to the academic faction of Hwaseo in his later years. At the same time, Gyenam tried to break the fence around the academic world in those days built around other factions' opinions. Along with his father's support he consistently assumed his academic leaning of searching for the truth. He escaped theoretical Neo-Confucianism through academic communication with a lot of scholars, transcending the region and its factions and pursued a practical Neo-confucianism, focusing on mind-oriented studies. This is a result of his academic tendency of supporting a practice of studies valuing this actual life. His academic tendency of valuing this practice was influenced by his mentor, Gi Jeongjin and this is the very academic view which Jo sik, using the pen name of Nam Myeong(1501-1572), who led an academic tradition in this region, stressed. This shows not only that Nam Myeong's academic spirit revived the realities of the time of the nineteenth century but also that the academic tendency of valuing a practice-oriented studies equaled Gyenam's academic view.

목차
1. 머리말
2. 家學的 전통과 學者的 면모
1) 절조와 의리를 중시한 가학적 전통
2) 寢食과 色目도 잊은 精進
3. 계남의 학문경향
1) 求道의 일념과 개방적 학문자세
2) 下學重視의 경향
4. 맺음말
저자
  • 權鎭浩(韓國國學振興院) | 권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