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韓末 畿湖學界와 蘆沙 奇正鎭의 학문 활동 KCI 등재

Kiho school and Ki Jung-jin's Academic Activities during the late Chosun period

한말 기호학계와 노사 기정진의 학문 활동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33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본고는 19세기 후반 이후 영남 우도지역에서 일정한 영향력을 발휘한 蘆沙學 派 문인들의 학문적 연원이 되는 蘆沙 奇正鎭(1798∼1879)의 학문 활동을 韓 末 畿湖學界의 동향과 관련하여 고찰한 것이다. 門戶 分立에 따른 학파 분화, 그리고 이에 따른 다양한 학문적 입장의 대두 속에서 기정진의 主理的 학문 경 향이 가지는 위상을 검토하였으며, 특히 20세기 초반 기호학계의 논란이 되었 던 理 중심의 이기론과 호락논쟁에 대한 입장을 살펴보았다. 기정진은 호남을 중심으로 꾸준히 강학활동을 펼치면서 그 학문적 영향력을 확대하였을 뿐만 아니라 기호학계의 학문 연원이 되는 栗谷 성리설에 대한 비 판적 입장을 제시하며 자신의 학설을 구체화하였다. 그리고 당시 기호학계의 최대 논란 대상이었던 호락논쟁에 대해 인성물성동이를 중심으로 비판적 지양 의 입장을 취하였다. 리를 중심으로 한 그의 성리설은 실천적 위정척사로 현실 화되었으며, 이러한 그의 학문관은 그의 문인에게 계승되어 호남과 영남 우도 지역에서 적지 않은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그의 학문 활동을 영 남 우도의 학계 지형에 유의하여 전반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In this article, Kiho school's flow and Ki Jung-jin's Academic Activities of 19th century were analyse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Kiho school notably started to differentiate into sub-schools. The specification of Kiho school was accelerated and each sub-schools not only inherited the neo-confucian tradition, but also concretely differentiated their viewpoints on neo-confucianism. The representative neo-confucians of Kiho school, Ki Jung-jin tried to sublate several points of disputes by their extensive study. Furthermore, he inherited the confucian tradition of Honam region and raised a lot of scholars of Honam and western Youngnam region basing on his familial and matrimonial human networks. In this article, the author tried to map out Ki Jung-jin's ideological specialities in relation to the Kiho school and intended to identify the Nosa school's status and trait in Kiho school of 19th century. And examined his ideological by analysing his view on Yulgok's Sungrisul and Horak dispute in his work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한말 기호학계의 동향과 학문
1. 기호학계의 학파 분화
2. 다양한 학문적 입장의 대두
3. 경상우도 학계의 지형 변화
Ⅲ. 기정진의 학문 활동
1. 호남의 성리학 부흥과 영향력 확대
2. 기호학설의 주리적 계승
3. 실천적 위정척사의 전개
Ⅳ. 맺음말
저자
  • 朴鶴來(군산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교수, 남명학연구소 특별연구원) | 박학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