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3음절 한자어와 관련된 몇 문제 KCI 등재

Some Considerations on the construction of Tri-syllabic Sino-Korean wor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33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이 글은 국어 문법이 관여하고 있는 한자어 영역에 대한 형태론적 접근이다. 한문 문법이 관여하고 있는 2음절 한자어와 국어 문법이 관여하고 있는 3음 절 한자어(‘1+2’ 또는 ‘2+1’의 구조)를 구별하고 3음절 한자어 가운데 왼쪽 핵 구조를 가진 예들이 국어 문법에서 보면 예외적인 것들이겠지만 국어 현실에서 이들이 상당한 생산성을 보인다는 점을 중시하여 국어 형태론의 대상에 넣고 그 해명을 시도했다. 왼쪽 핵 구조를 가진 2음절 한자어이면서 동시에 3음절 한자어 ‘脫法/抗菌’과 3음절 한자어 ‘脫+公害/抗+憂鬱(劑)’의 분석을 통해 형태⋅통사적인 ‘서술 어 근’(predicative root) ‘脫/抗’을 확립하고, 이 두 한자어 부류의 관련성을 적극 적으로 받아들여 ‘脫+公害/抗+憂鬱(劑)’가 서술 어근 ‘脫/抗’의 문법 구조를 따 르고 있다는 점에서 ‘脫+公害/抗+憂鬱(劑)’의 형성은 ‘脫法/抗菌’에 의해 저지 되지 않은 것으로 해석했다. 3음절 왼쪽핵語의 형성은 한문 구성 방법(왼쪽 핵 구성법)의 차용의 결과이기보다 그에 앞서 핵 성분으로 서술 어근의 성립이 전 제되었기에 가능한 것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서술 어근의 성립을 가능하게 한 구성법에는 述目 구성, 述補 구성 외에도 前目 구성이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Sino-Korean words through the analyses of their morphological configurations in which Korean grammar is supposed to be involved or interfere with in depth. Korean is known as a head-final language, while Chinese is a head-initial. First, the data here is divided into di-syllabic and tri-syllabic words each of which is governed by Chinese grammar for the former case and Korean grammar for the latter, respectively. The tri-syllabic words have two types of configurations such as '1+2' and '2+1' in which 1 represents a head and only the latter seems to fit to head-final. Although left headed words are exceptional apparently in Korean configuration, it is claimed that they should also be included in Korean word formation, because of their productivity. The interpretation of them is provided as the following. The predicative roots can be set up with left headed words of di-syllabic forms as well as tri-syllabic forms such as ‘脫法/抗命’ and ‘脫+公害/抗 +憂鬱(劑)’. The first syllable is designated a root which needs to be filled with an ending following immediately. This configuration, then, respects the head-final restriction in Korean. This paper also argues that the di-syllabic form with the predicate-object type has been extended to produce the tri-syllabic form. Moreover, the predicative root, it is claimed, has been functional in Korean word formation and it is not a mere copy of Chinese construction. It is reported that there are still other types found in the predicative root forms such as a predicate-complement construction and a preposition-object construction.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한자어의 구조
Ⅲ. 2음절 한자어
Ⅳ. 1음절 한자 어근의 성립
Ⅴ. 서술 어근의 3음절 한자어
Ⅵ. 맺음말
저자
  • 李栽仁(경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남명학연구소 특별연구원) | 이재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