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선 후기 진주지역 司馬所의 연혁과 성격 KCI 등재

The History and the Character of the Samaso in the late Yi-Dynasty in Jinju

조선 후기 진주지역 사마소의 연혁과 성격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46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필자는 연계재에 소장된 여러 종류의 사마안, 연계안을 통해 조선 후기 진주 사마소의 건립과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 전기 유향소를 능가하는 막대한 영향력을 향촌사회에 행사하고 있었던 사마소는 1603년에 혁파되었지만, 이후 시간이 얼마 지나지 않은 1620년대에 와서 사마소가 다시 세워지고 있다. 사마소는 고을의 역사적 조건에 따라 일찍 부터 지속적으로 운영되기도 하고 아주 늦은 시기에 설립되기도 하였던 것이다. 진주에서도 조선 전기에 사마소가 세워졌다가 혁파된 이후 한동안 운영되지 않다가 1736년에 새로 창건되었고, 이에 따른 명안인 ‘사마안’도 만들어졌다. 이후 1812년에는 다시 ‘청금록’이 작성되었는데, 입록의 시기적 범위가 넓혀지 고 문과 급제자도 기록되기 시작하였다. 1841년에 와서는 연방안과 계적안이 별도로 작성되었고 사마소의 명칭도 ‘연계재’로 바뀌었다. 이후에 가서도 새로 운 명안이 여러 차례 만들어진다. 18세기 전반 진주에 사마소가 창건된 것은 우선 진주 지역에서 좀더 많은 과 거 합격자가 배출되기를 열망하는 교육적 목적 때문이었다. 사마소가 건립된 또 하나의 배경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진주 내에서 열세이던 노론세력들 이 그들의 입지를 강화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삼았던 점이다. 그런데 후대로 오면서 사마소의 성격은 변화양상을 보인다. 참여가문이 증가 하고 사마시 합격자뿐만 아니라 문과 급제자도 포함되면서 점차 연계안 체제로 변하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연계안에 입록된 인물의 수도 점차 증가한다. 많은 가문들이 연계안에 관심을 가지고 조상을 입록시키기 위해 경쟁하면서 과거합 격 여부가 분명치 않은 인물들도 수록되기 시작하고, 가문간에 여러 가지 분쟁 도 발생하였다.

I researched the construction and the changes of the Samaso(司馬 所) in the late Yi-Dynasty by analyzing the various name-lists of the persons who had passed the government examinations, for example the Samaan(司馬案) which recorded the persons who passed the minor civil examination, and the Yogyean(蓮桂案) which recorded the persons who passed the higher civil examination including the former in Yongyejae(蓮桂齋). The Samaso which had the more influences on the community than the Yuhyangso(留鄕所) in the early Yi-Dynasty, was abolished in 1603, but it was soon reconstructed in the 1620's. According to the historical conditions of each community the Samaso was sustained or reconstructed in the remarkably late day. In Jinju, the Samaso was reconstructed in 1736 after it was abolished in the late Yi-Dynasty, and the name-list, that is the Samaan, was made also. Thereafter the Chonggeumrok(靑衿錄) was made in 1812, and the scope of the period was extended and the persons who passed the higher civil examination was written down in it also. In 1841, the Yonbangan(蓮榜案) and the Gyejokan(桂籍案) were made seperately, and the name of the Samaso was changed into Yongyejae. Thereafter the new name-lists was made several times also. The reconstruction of the Samaso in the early eighteenth century first resulted from the educational purpose desiring the increase of the the persons who had passed the government examinations in Jinju. The other reason of the reconstruction of the Samaso was that the Noron(老論) members inferior in strength atempted to strengthen their standing. With the lapse of time the appearance of the Samaso was changed gradually. The system of the Samaso was changed into that of the Yongyejae as the number of the families entering it increased and the persons who passed the higher civil examination as well as the persons who passed the minor civil examination were included in it. According to it the number of the persons who were written down in the Yongyean increased gradually. The persons who were not clear in passing the government examinations began to be recorded in it and the various conflictions among the families appeared as many families take a interest in the Yongean and competed to enter it.

목차
I. 머리말
II. 진주 및 다른 고을의 사마소의 연혁
1. 다른 고을 사마소의 설치상황
2. 진주 사마소의 연혁
III. 조선 후기 진주 사마소의 설치와 변화
1. 사마소의 설치 배경
2. 사마소의 변화
IV. 맺음말
저자
  • 김준형(경상대 역사교육과) | Kim, Junhy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