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鄭泰元의 學問과 思想에 대한 一考察 KCI 등재

A Study on Jung Tae-won`s learning and thought

정태원의 학문과 사상에 대한 일고찰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62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지금까지 학계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雙洲 鄭泰元(1824, 순조 24 - 1880, 고종 17)은 영남 진주에 거주하면서 대체로 栗谷과 尤菴의 학문과 인격을 존모하면서 기호학파의 학맥을 계승하였고 평생 衛正斥邪와 尊華攘奏의 이념을 고집하여 실천하였다. 그는 당시 老論의 宗匠 이었던 梅山洪直弼(영조 52, 1776 - 철종 3년, 1852)의 문하에서 師事하였지만 그렇게 크게 벼슬에 있어 출세를 하지 못한 형편 이였으며 다만 1879년(고종 16) 부친 西湖公의 遺命에 따라 56세의 老年으로 司馬試에 합격하여 士林들로부터 많이 羨望한 바 되어 矗閫 趙義贊등의 추천을 받기도 하였으나 끝내 要路에 등용되지 못한 채 57세 (1880)를 一期로 생애를 마쳤다. 그는 당시 文詞에 있어 ‘嗚國之手’가 되겠다는 칭찬을 틀을 만큼 뒤어난 학문적 역량을 갖추고 있었으며, 당시 교유한 문사로서는 많은 族叔 • 族兄· 族弟를 비롯하여 100여명의 학자가 있였는데, 특히 족형인 芝窩 鄭奎元과는 同堂講學하며 偲切琢磨한 사이였으며, 艮齋 田愚(1842-1922)의 스승이었던 鼓山 任憲晦와 는 같은 梅山의 문하에서 수학하면서 편지왕래와 직접 방문을 통해 갚이 있는 학문적 토론을 가지기도 하였다. 또 그는 ‘효’의 정신과 숭조의식에 투철하여 이를 향토 · 국토애로 승화 발전시켜 민족적 자부심과 자아의식으로 구체화하여 문명의 가운이 중국으로부터 동방의 우리나라에 도래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요컨대 쌍주는 영남 진주에 거주하면서 학맥은 대체로 金昌集, 李縡, 金元行, 朴胤源, 洪直弼로 이어지는 노론 낙론계에 속해 있고, ‘直=內修’의 도맥은 공 자一주지-송시열-매산 홍직필에 연결되어 있으며 理氣論의 사상적 도맥은 율곡 송시열에 접맥되어 있지만 ‘道心’의 개념 정의와 관련해서는 일부 율곡의 설 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內修外懷의 문제와 관련해서는 主理적 이념 을 기초로 하는 같은 기호학파내의 衛正斥論邪과 尊華壞夷論에 기초하고 있지만 畿湖지방의 華西 李桓老(1792-1868) , 湖南의 盧沙 奇正鎭(1798-1879) , 嶺南의 寒洲 李震相(1818-1886) 등과 같이 학파적 차원 또는 집단적 그룹차원에서의 구체적이고 계획척인 대응을 하는데 까지는 발전하지는 못하였다. 다만 진주를 중심으로 하는 일부 지식인 유생들과 함께 만동묘 복설과 華陽書院복원에 관한 상소를 올리는 등의 현설적 실천을 전개하였다는 것과 경세론과 관련해서는 주자-율 곡의 公道論的사상에 기초한 「삼정구폐소」를 올리는 정도의 현실개혁적 의지를 피력하였다는 데서 그의 학문사상의 역사적 의의를 가늠할 수 있을 뿐이다.

Ssangju Jung Tae-won(1824-1880), who has not been known before the academic world, succeeded Kiho school and practiced his sπong conviction that was weizhengchixie(衛正斥邪) and zunhuarangyi(尊華攘奏) through a whole life respecting Yulgok and Wooam ’s learning and characters in Jinju, Youngnam province. Even though studied under Maesan Hong Jick-pil(1776-1852) who was the head of Noron(老論), he didn’t have great success in rank and he was 56 years old when managed to pass Sama Examination(司馬試) in 1879 following his father's last words. After that he was looked enviously by Neo-Confucianism scholars(士林) and was recommended by Chockgon Jo Hui-chan. He had, however, never been in a high position and then passed away in 1880. He had a great academic talent in phraseology. Among around 100 scholar he sassociated with including, especially with Jiwa Jung Kyu-won, he taught with and kept a close relationship., he studied under Maesan and had academic debates with Gosan Im Hun-hoi, a teacher of Ganjae Jeon Woo(1842-1922). Beside, with filia1 piety and worship ancestors, he concretised it into love for his native place and nation. These consciousness was embodied into national self-conceit and self-awareness, thus he thought the time of civilisation was coming from China to Korea In short, Ssangju was associated in Noron Nakron school, linked from Kim Chang-jib, Lee Jae, Kim Won-haeng, Park Yun-won and Hong Jik-pil. Though conneted with Confucious-Zhuzi-Song Si-yul-Maesan Hong Jik-pil in thought line of ‘ zhi(直)=nei ziu( 內修)’ and conneted with Yulgok-Song Si-yul in the thought line of Liqi theory, he raised a question on definition ‘dao xin(道心)’ notion to Yulgok’s view. On the matter of ’neixiuwairang( 內修外鐘)’, although he based on weizhengchixie(衛正斥邪) and zunhuarangyi(尊華攘奏) theories, which had the same thougth of Kiho school, concentrating on li, he couldn’t developed detailed plan in the dimension of a school or group like Hwaseo Lee Hang-no(1792-1868) in Kiho province, Nosa Ki Jung-sin(1798-1879) in Honam Province or Hanju Lee Jin-sang(l 818-1886) in Youngnam Province. We can merely watch the historical meaning of his study from the fact that he voiced an opinion to reform a society such as presenting a memoria1 to the king on Mandongmyo Boksul(萬東願復設) and a restoration of Hwayangseowon(華陽書院), and presenting Samjunggupyeso for governing, which based on Zhuzi-Yulgok’s gong dao(公道) theory with a party of scholars, centered in Jinju.

목차
1. 서론
2. 傳記및 交遊關係
3. 학문과 사상의 지향처
4. 19세기 현실사회에 대한 개량적 실천전개
5. 결론
저자
  • 張炳漢(靈山夫學校建葉學部) | 장병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