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海州鄭氏 家門의 晉州 定着 學問 性向 - 南冥學派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 KCI 등재

Haeju Jeongs’ Fixing in Jinju and their Scholarship Character

해주정씨 가문의 진주 정착 학문 성향 - 남명학파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62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진주의 해주정씨는 17세기 이후 진주 지역의 대표적 가문 가운데 하나로 일컬어 져 왔다 이 논문에서 말하는 晉州 의 海州鄭民는 農園 鄭文孚(1565-1624)의 후손 및 농포의 아우 鄭文益(1568-1639)의 후손을 말한다. 농포의 두 아들 鄭大榮 (1586-1658)과 鄭大隆(1599-1661) 및 농포의 아우 鄭文益등 三叔姪이 어떻게 해서 진주에 정착하여 진주 지역의 대표적 가문이 되었으며,남명학파의 본거지라 할 수 있는 진주 지역에서 이들이 가진 학문의 성향은 어떠한가 하는 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진주의 해주정씨는 농포의 아우와 두 아들로부터 비롯되었다 이들이 처음 진주로 온 것은 避兵이 그 주된 목적이었는데, 그렇다 하더라도 전대의 혼인관계로 인 해 상속받았던 田莊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음도 또한 분명하다. 인조반정 이후에는 다시 서울 생활을 하려고 했었던 것 또한 확인되는 바였다. 그러나 농포가 李适의 난 이후 昌原府使시절에 지은 詠史詩로 인해 遊謀로 처형당하고,遺言 에 의해 그 아우와 아들들이 진주에 정착하게 되었다는 부분은 좀 더 생각하게 하 는 점이 없지 않다. 광해군 시대 창원부사 시절의 詠史詩로 인해 반정 이후 인조 시대에 역모로 처형당할 수 있겠는가 하는 점이다. 지금으로서는 자료가 부족하여 증빙하기 곤란하지만,이는 당시의 집권층이 농포가 광해군 시절 북인으로서 내암 정인흥과의 관 련이 적지 않았다고 보았기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는 것이다,물론 농포로서는 이러한 정치적 상황과 관련하여 환멸을 느끼고 자손들에게 정치적 은둔을 유언한 것이 아닌가 판단되는 것이다. 해주정씨가 진주에 정착한 초기에는 南冥學派를 영도하는 위치에 있던 謙齋 河弘度의 지우를 업어 남인으로 입지를 굳히는 듯하였으나,1665년을 전후하여 농포의 신원에 앞장섰던 澤堂 李植의 아들畏齋 李端夏에게 집지하는 인물이 나타나면서 서서히 노론화한 것이다. 그러나 노론으로서 확고하게 자리를 잡은것은 경종때 남인으로부터 심각한 핍박을 받은 뒤 영조가 즉위한 이후 이에 대한 보복성 핍박을 남인에게 가함으로부터d였다. 이 일이 일어난 지 20여 년 후에 얼어난 宗川書院 禍變의 주동자가 이 가문에서 나옴으로써 남명학파를 주도하던 남인과의 관계가 극히 악화되었고,근가 지역의 노론 학자들로부터 학업을 전수함으로써 이 지역의 남명학파에 대해서는 상대 척으로 관심이 멀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진주의 해주정씨는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남인과의 관계도 대체로 나빴다고 할 수 있고,남명학파에 대한 관심의 정도 또한 보잘것없다고 할 수 있지 만,문집이나 유고 등을 남겼다는 이가 58 인이나 있다는 것은 학문에 대한 관심만큼은 여타 가문에 뒤지지 않으려 하였던 결과로 보인다. 남명학파라는 범위를 벗어나서 생각해 보면, 이와 같은 사실로 인해 해주정씨가 진주를 중심으로 하는 서부 경남 지역의 학문 발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Haeju Jeongs is called representative family tree in Jinju since 17th century. This report is about the decendant of Haeju Jeong of Jeong Mun-bu and the younger brother Jeong Mun-ik. Jeong Dae-young, Jeong Dae-ryoung are the sons of Jeong Mun-bu. This shows how they reached in Jinju, how they becrune the representative family tree in Jinju and how is their scholarship character. Haeju Jeong in Jinju is orginated from two sons of Jeong Mun-bu. The frrst purpose that they crune in Jinju is for avoid dodging. But they had some fields inherited for their wife’s ancestors because of marriage in Jinju‘ Mter In-jo(The one of Chosun kings) war happened, they tied to live in Seoul life. But Jeong Mun-bu was sentenced to death because of his poems included conspiracy during Gwang-hae’s generation. At that time his position is the chief Changwon near Jinju. His will included many parts of the reason why they fixed in Jinju. Owing to lack of materials, we can’t prove why he is sentenced to death. He is North part person(It is the party in power), that is continuous with Jeong In-hong. He felt disillusion concerning of political situation. So he began to retire of the world. In the beginning of political changing, they fixed their willing as a South part person( the partyin Chosun) because of Ha Hong-do, the leader of Nammyoung School. Before and after 1665, his party was changing slowly. Noron(the Party in Chosun) concerning the son of Yi Sik. After he occupied a position as a Noron person, he was got stringent since Yong-jo(one of Chosun Kings) hold a coronation ceremony. Twenty had passed since this event happened, the leader in Jongcheon auditorium was bom in this family tree. So this party became worse with South part person, it took the initiation of Nammyoung School. Lately they were handed down a Noron scholar. Their concerning was alìenated from Nammyoung School. Like this, except a few person in Haeju Jeong family tree, most people were bad with South Part Person’s relationship and they had little concerning. However 58 people in Haeju family tree left many collection of works and manuscripts. On the point of this fact, they played an irnportant role fo scholarship development with a center of Jinju in west Kyoungnam.

목차
1. 머리말
2. 海州鄭氏 家門의 晉州  定着 過程
3. 학문 성향 -남명학파적 성격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4. 맺음말
저자
  • 李相弼(慶尙大漢文學科) | 이상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