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여성장애인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that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Women with Disability Have on Quality of Lif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160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봄으로써 여성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여성장애인의 개인특성 중에서 학력이 높을수록, 배우자와 부모, 자녀와 동거하는 경우일수록, 장애특성 중에서 장애발생원인이 후천적일수록, 장애진단시기는 연령이 적을수록, 보험이용 특성 중에서는 민간보험을 가입하지 않거나 모르는 경우일수 록, 지역국민연금에 가입한 경우일수록, 접근성 및 편의시설 특성 중에서 접근을 위해 타인 도움을 청하지 않을수록, 자가용이나 장애인콜택시 등의 교통수단을 이용할수록 여성 장애인이 인식하는 삶의 질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하면 삶의 질 영향요인으로 사회적 낙인 및 권리침해 여부, 인식된 심리적 요인 등을 고 려할 수 있고, 여성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편견에 대한 인식 개선사업이 요구되고, 각종 계단 및 전철 출입구 등에 1m짜리 봉 손잡이를 설치하여 경증장애인이 스스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배려가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disabled woman is the impact on quality of life by look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disabled woman tried to make a counter-offer. Analysis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disabled women living with higher literacy rates, spouse, parents, children and disability on disability characteristics can cause, the more cases Acquired the more use characteristics, private insurance, the smaller the age, disability diagnosis time is not with insurance or join the more cases, local, national pension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re cases, clicking Ease of Access and amenities not ask for help others to access, the private car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the longer use the disabled person or call taxis Disabled woman would recognize that increasing the quality of life which could know.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when a suggestio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into account the social stigma and psychological factors, whether perceived impairment can and women for the disabled Social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gainst the project is required and the various steps and subway entrance and improve their perception of the installation using a mild case for the disabled themselves the handle bars 1s m Cares to take back the need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모형 및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봉희(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 Kim Bong-hee 주저자
  • 서영희(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 Seo Young-hee 공동저자